트래픽을 끌어 모으기 위한 방법, 콘텐츠 허브 구축
Brunch Story
내가 작성한 콘텐츠의 SEO가 잘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3가지가 필요하다.
테크니컬 SEO, 콘텐츠 SEO, 그리고 백링크다.
테크니컬 SEO는 블로그에 기본 세팅을 잘 해두면 되고, 콘텐츠 SEO는 사용자 검색의도에 맞게 잘 작성하면 된다. 가장 어려운 것은 백링크다.
백링크란 다른 웹페이지에서 내 블로그의 글을 인용해서 작성한 링크를 말한다. 즉, 백링크는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나의 글을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내가 직접 할 수가 없어 가장 어려운 SEO 테크닉이다.
어떻게 하면 백링크를 받을 수 있을까?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콘텐츠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다.
1. 콘텐츠 허브란?
콘텐츠 허브(Contents Hubs)란, 특정 주제에 대한 여러 콘텐츠들을 링크로 모아두는 방식을 말한다. 즉, 대표 콘텐츠(Hub Page)안에 각각의 세부 콘텐츠(Sub Page)들을 링크로 묶어서 정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Zapier에서 작성한 글 "The ultimate guide to remote work"라는 글이 콘텐츠 허브 글의 예시다. "remote"라는 특정 주제에 대한 여러 콘텐츠들을 링크로 모아둔 페이지이다.
"remote" 주제에서 대표 콘텐츠 글들과 각각의 세부 콘텐츠들을 링크로 묶었다.
즉, 콘텐츠 허브의 글은 한 페이지안에 특정 주제에 대한 모든 글을 링크로 정리해둔 목차를 말한다.
2. 콘텐츠 허브와 백링크
그렇다면, 콘텐츠 허브의 글을 구축하는 것이 왜 트래픽을 끌어 모을 수 있는가?
그것은 바로 백링크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A라는 웹사이트에서 B라는 웹사이트의 글을 왜 인용할까? 어떤 것에 설명할 때 부연 설명이나 예시 글로 참고하기 좋기 때문에 링크까지 추가해서 인용할 것이다. 이렇게 활용된 링크가 백링크이다.
즉, 콘텐츠 허브의 글은 특정 주제에 대해서 인용하기가 좋은 글이다. 왜냐하면 해당 주제에 대해 목차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활용하기가 좋다. 실제로 권위있는 웹사이트 또는 기사글에서도 콘텐츠 허브로 구축된 페이지를 활용하는 사례가 많다.
콘텐츠 허브의 글은 권위있는 웹사이트로부터의 백링크를 통해 엄청난 트래픽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백링크가 많이 생길수록 특정 주제에 대한 권위(authority)가 높아져, 웹사이트의 SEO 점수 또한 높아지게 된다.
https://brunch.co.kr/@roywriter/164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2월 22일 오후 2:05
1
... 더 보기방송이나 유튜브 보다보면 경제전문가라 말하는 하락론자와 비관론자가 판을 치는데, 최소 지난 수년, 더 나아가 20여년동안 매번 틀려도 여전히 전문가라고 말하고 다니는 걸 보면 재미있다.
모든 인간사가 그렇듯 인간은 믿고 싶은대로 믿는 존재라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들의 감정적 지지를 받아 밥벌이하고 있다는 건 이해가 된다. 하지만 확율적으로 벌어지기 어려운 천재지변 수준의 사건으로 벌어지는 현상이나 전체 흐름에서 일시적으로 벌어지는 현상, 혹은 인간의 욕망과 본성이 외부적 요인으로 잠시 억눌린 상황에서 현실적 경험 없이 뇌피셜로 몇몇 논리적 근거만으로 설명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자산 가치 떨어지고 세상 망할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결국 제대로 맞추지도 못하는 사람들을 여전히 추종하는 건 글쎄...
... 더 보기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U
... 더 보기창업 기초, 창업 로드맵, 나도 한번 창업을 해볼까? 이 궁금증을 해결하는 'PBR B라운지 : (직장인 이후의 삶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 선명하게 다듬기' 과정 오늘 저녁 드디어 시작! 😊
... 더 보기Clay는 AI를 통해 50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영업팀이 잠재 고객을 빠르게 찾도록 돕는 아웃바운드 마케팅 중심의 리드 생성 소프트웨어입니다. Clay 공동 창업자 Kareem Amin의 인터뷰 중, 창업가의 성격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이 담긴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