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중소(300명 이상) 에서 스타트업 이직 고민(개발직)
안녕하세요. 5년차를 바라보는 Windows 개발자입니다. 저의 경력은 - 0~3 : Windows 응용 프로그램 개발 - 3~5 : Windows 드라이버 및 시스템 개발 입니다. 저의 개발자로서의 목표는 정말 거창하지만, Windows 전반에 걸친 개발의 스페셜리스트가 되는 것입니다. 경력 중 3~5년차 경력은 중소 보안회사(300명 이상)에서 쌓았으며, 여기서 저의 이직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고민의 원인은 1. Windows 드라이버 및 시스템 개발, 유지보수로 입사했지만, 2년 중 1년은 AI 관련 프로젝트 투입(AI 개발이 아닌 연계 서버 개발) 2. 불만 표현 후, 조치 사항으로 모바일(안드로이드) 코어 개발(루팅 탐지 등) 제안 3. Windows 드라이버 및 시스템 개발, 유지보수와 2번을 병행할 것을 제안 위 원인들로 인해 Windows 개발자로서의 커리어와 기술적 전문성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계속해서 현회사를 다니게 되면, 모바일(안드로이드)에 대한 전문성도 커리어에 추가할 수 있을거란 기대는 있습니다. 위 고민 중 한 스타트업에서 입사 제안이 왔습니다. 이곳에서의 저의 역할은 커널 드라이버~응용까지 Windows 전반적인 기술을 이용한 제품 개발입니다. 기술 내용으로 짐작했을 때, 드라이버 개발 레벨은 그렇게 높지 않아보이는 것에 멈칫했지만, 대우와 Windows에 몰입할 수 있다는 기대감은 있습니다. 만약, 저와 같은 상황에 놓였다면 어떤 결정을 하시겠나요? 다시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현회사 - Windows 개발자로 들어왔지만, 2년 중 1년 이상을 ai 관련 서버와 에이전트 개발을 진행 - 이후부터 모바일(안드로이드) 코어 개발과 Windows 개발 병행을 약속 - 보안 회사라는 특징 상, 높은 수준의 Windows 커널 드라이버와 시스템 개발을 접할 수 있음 이직 회사 - Windows 전반(커널 드라이버~응용)적인 개발 역할을 맡게 됨 - 대략적인 기술은 Windows 전반적인 이벤트들을 수집 및 모니터링으로 커널 드라이버에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있는지는 미지수 - 현직장 대비 높은 연봉(약 20%), 복지 제시
투표
개발자
#스타트업
#보안
#windows
#이직고민
#이직사유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483
24일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 백엔드 포트폴리오 이렇게 작성하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백엔드 직군을 준비하는 신입 개발자입니다. 포트폴리오를 작성했는데, 다음과 같이 구성을 했습니다. 아래는 대략적인 내용 구성입니다. 제목 : "스스로 문제 해결하는 " 신입 개발자 <팀 프로젝트> - Out Of Memory : unable to create native thread 크롤링 과정 thread가 500개 정도 비정상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visualVM으로 분석하고, 모니터링 로그를 분석한 결과 데몬 스레드가 백그라운드에서 종료되지 않음을 발견함. 따라서, 자원 회수 및 공통 객체를 싱글톤으로 등록해서 스레드 수 40~60개로 유지 -> 운영 문제 해결 <개인 프로젝트> - Accept 큐 overflow해결 10000명 부하테스트에서 에러율 2~3% 포착함. 로그 분석한 결과, TCP Zerowindow로 서버 버퍼 오버플로우로 추측 톰캣 accept 큐 100 -> 200으로 증가하니 에러율 0% -> 문제 해결 - redis 캐싱 웹 사용자 80%가 최신글에만 방문한다는 논문을 발견함. 따라서, 이에 맞게 redis를 사용해서 해당 page 부근만 캐싱을 함. 부하테스트 결과 throughtput 40% 개선, latency 30% 개선 포트폴리오를 이런식으로 내용 구성을 했는데 괜찮을까요??? 다른 분들 포트폴리오를 보니 기능 구현이 위주던데 이런식으로 구성해도 괜찮을지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분량은 7장 정도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포트폴리오
#백엔드
#java
#신입
#이력서
답변 4
댓글 2
조회 448
2달 전 · 백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경력 4년차 하지만...
SI 경력 4년차이고 1년 반정도는 Spring과 Oracle을 사용했지만, 고객사에 상주하여 운영을 하면서 거의 쿼리만 1년반 동안 짰었고, 나머지 2년반은 고객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맡아서 nextjs 개발을 했었고 현재는 회사를 그만두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 회사로 백엔드 엔지니어 이직을 하고싶은데 내세울만한게 운영업무하면서 고객사의 요청을 받아서 그에 맞는 로직으로 쿼리짜본 경험과 nextjs 개발을 한 것이 다라서 딱히 백엔드 엔지니어로서 내세울만한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승부를 볼만한게 사이드 프로젝트밖에 없다고 생각하여 프론트 백엔드 인프라까지 독학해서 혼자서 멀티 클라우드 컨테이너 리소스를 쿠버네티스로 관리하고, ci/cd를 구축하여 자동화 배포 시스템을 만들고, 실제 서비스 중인 백엔드 서비스 코드를 단위 테스트 코드 작성, grafana까지 실제 서버에서 연동하여 모니터링 관리까지 대규모까지는 아니지만 작게나마 프로덕션 레벨의 사이트까지 1인으로 개발/운영해보려고 하는데 기껏해야 사이드 프로젝트가 이직에 도움이 될까요? 이직 관련 질문에 대한 답으로 어떠한 답변은 사이드 프로젝트가 필요없다는 경우까지 보았어서요 실제로 4년동안 백엔드업무라고 해봤자 1년반 동안 쿼리만 손대본게 전부입니다... (참고로, 매번 같은 업무만 하다보니 너무 질렸는데 백엔드 개발과 더불어 요즘 백엔드 엔지니어들은 인프라쪽까지 관리한다고하여 인프라쪽도 공부해보니 재밌기도하고, 평소 cs 지식에 관심이 많다보니 이해도 더 잘되서 인프라까지 붙여볼 생각을 했습니다. 최대한 트렌디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돋보일수 있는 장점이라고 생각하여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까지 적용하려고 했지만 너무 과하다고 생각해서 추후에 염두에 두고 백엔드를 개발하려하고 이직에 낼 프로젝트에는 넣지 않으려고 합니다...)
개발자
#이직
#백엔드
답변 2
댓글 0
조회 274
4달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경력 이직 준비하는데 포폴이 필수일까요?
안녕하세요. 2년 10개월 정도 경력을 쌓고 퇴사 후 이직을 준비 중인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6개월은 첫 회사에서 재직한 뒤 그다음 회사로 이직한 뒤 2년 반을 다니다가 퇴사를 하게 되어 이번이 2번째 이직입니다. 첫 회사에서 이직 준비를 했을 당시에는 신입으로 이직 준비를 했었기 때문에 처음으로 경력 이직을 준비하게 되면서 뭐부터 준비해야 할지 너무 막막하여 글을 적습니다. 변명같이 들리는 것을 저도 알지만, 회사를 다닐 당시 새벽이고 주말이고 불려나가면서 일했던 터라 따로 개인 프로젝트를 할만한 여유가 없었습니다. 밤샘도 많았고요. 건강이 무너지고 도저히 못버티겠다 싶어 퇴사한 뒤에는 회복에 신경쓰면서 공부에도 손을 놓았더니 공백기는 1년이 넘었는데 따로 포폴로 쓸만한 무언가가 없네요. 깃허브도 아예 관리가 안된지 좀 되었습니다.. 이전 회사에서 주로 맡은 업무는 1. b2c 서비스 api 개발 2. 어드민 백오피스 개발 3. 신규 프로젝트 db 구축 및 설계 여기에 유지보수, 모니터링이나 운영 관련 업무를 주로 했었습니다. 회사에서 맡았던 프로젝트들이 적은 것은 아닌데 갯수만 많고 전부 동일한 성격의 서비스들이라 플랫폼만 다를뿐 사실상 그닥 차이가 없어서 경력기술서에 어떻게 써야할지도 애매합니다.. 경력기술서야 어떻게든 다듬어서 내면 되지만 포트폴리오가 너무 걱정입니다. 퇴사를 앞둔 당시에 기술블로그를 직접 만들어볼까 하고 백/프론트단까지 개발하다가 흐지부지된 것이 하나 있는데요. 너무 만들다말아서 지금 보면 학부생 수준이라 생각되어 입사 지원 시에 제출하기 부끄럽습니다.. 이미 공백기가 1년이 넘은 상황에 제 나이도 30대이고 이제 재취업이 급한 시기라서 일단 포폴 없이 어떻게 경력기술서만 수정해서 지원하고 있는데 멘토링을 받았을 때는 깃허브에 간단하게 crud 되어있는 프로젝트라도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얘기를 들었는데 어디서는 경력직이면 경력기술서가 더 중요하다고 해서 혼란스럽습니다. 지금이라도 포폴용 프로젝트 뭐라도 쌓아서 같이 내는 게 좋을까요? 만들다 말았던 블로그라도 마저 마무리를 해야할지.. 근데 그러면 공백기가 너무 길어지는 것은 아닐까요 스스로 물경력이라고까지 생각하지는 않지만 요새 부트캠프 출신 분들이나 비슷한 연차의 개발자분들을 보면 너무 저만 동떨어져 있는 것 같아 자신감이 많이 떨어집니다. 좋은 곳으로 이직하게 되면 좋겠지만 채용시장은 어려운데 마음은 급하고... 면접을 보러가도 좋은 결과가 없으니 이전 회사보다 열악한 환경이라도 어디든 가야하지 않나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그리고 요새 면접 분위기는 솔직하게 답변하는 것을 많이 바란다던데, 면접장에서 많이 듣기도 했고요. 퇴사 사유와 공백기에 대한 질문 답변으로 건강 얘기를 해도 될지 고민이 됩니다. 괜히 나약하다 생각하게 될까 봐 우려스러워 돌려서 얘기하고는 있는데 공백기에 개인 공부 외에 아무것도 안한 걸로 비치는 것도 별로 좋아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푸념 섞인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배님들의 거리낌없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이직
#경력
#경력이직
#물경력
답변 1
댓글 1
조회 985
9달 전 · 한종원 님의 질문
<항공/기후산업의 혁신을 함께할 프론트엔드 개발자 모집>
주식회사 노바에어는 고가의 장비 인프라 없이 항공기 상태 변화 기반으로 난기류를 진단하고, AI 기술을 적용하여 운항관리사와 조종사에게 최적화된 실시간 난기류 대응책 도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솔루션을 통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모빌리티 운항 환경 구현을 목표로 합니다. ★ 대표자 - UAM/항공 분야 프로젝트 및 연구 다수 진행 - 총 3회 수상 이력 (국토교통부 장관상. 한국공항공사 사장상.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상) ★ 팀원 - 리서치/운영 지원 1명, PO/PM 1명, 웹 풀스택/네트워크 개발 1명, 안드로이드 개발 1명, 디자인 1명 - 항공기상 빅데이터융합, 대기과학 인공지능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해외 대학 박사학위 보유자 두 분 (Adviser) 우리 팀과 함께 기술 고도화와 시장 확장을 이끌어갈 아래에 해당하는 신규 팀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항공시장을 혁신하고 지속 가능한 하늘길을 만들고자 하는 열정적인 분들의 많은 지원을 기대합니다. I. 프론트엔드 개발자 (1명) : 파트타임 및 인턴 직무 내용 - 항공 운항 관리 및 통제용 난기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대응 솔루션 웹 플랫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개발 요구 사항 - Kepler.gl 등 Map GL을 사용한 개발 경험 필수 - React에 능숙하신 분 주도적인 마인드로 가슴 설레는 일을 하고 싶으신 분들은 나이, 전공, 경력 등 불문하고 연락 주십시오. 학/석/박사학위자 및 과정 중, 직장이 있으신 분도 환영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오픈 카톡방으로 입장해주세요! https://open.kakao.com/o/s66vjKgg
개발자
#항공
#기상
#react
#맵gl
#mapgl
답변 0
댓글 0
조회 108
일 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SI 프론트엔드 개발자 커리어 고민
안녕하세요. 중소si에서 일하고 있는 20대 중반 프론트엔드 개발자고, 리액트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올해로 6년차가 되었고 성장이 정체되고 있다는 생각과 좋지않은 처우 때문에 서비스 기업으로 이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선 저희 회사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프론트엔드 시니어는 계시지않고 오로지 혼자서 성장 해야하는 구조입니다. 기술스택은 리액트를 사용중이니 괜찮고, si 특성상 단순 반복성 업무가 많습니다. 두서가 길었는데요, 저는 단발성 프로젝트를 주로 했고 간단한 기능 수정, 요구사항 추가에 따른 추가 개발 및 개선과 대시보드, 모니터링 화면 개발을 주로 했습니다. 반복된 업무로 인해 업무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도 없고 간단한 업무 위주다보니 그 중요하다는 문제 파악, 해결을 해본 경험 또한 없습니다. 있어봐야 대시보드, 모니터링 화면 로딩 속도 단축과 성능 최적화가 있겠네요. 저연차때 트러블 슈팅을 해본 경험이 있을 수도 있지만 아무것도 기억나지않습니다.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지 못한 저의 잘못이죠. 그래서 지금 이력서엔 프로젝트별로 적어놓은 단순 업무 내용, 대시보드 개발, 모니터링 화면 개발, 공통컴포넌트 및 모듈 개발, 소규모 프로젝트 리드 경험 내용.. 그리구 진행하고있는 토이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정말 별 볼 일 없는 이력서라고 생각합니다. 5년이 넘는 세월동안 대체 어떤 것을 해온건지 그저 한탄스럽기만 합니다. 저는 서비스 기업으로 이직을 희망하고 있는데 그 흔한 트러블슈팅 경험도 없습니다. 이 상황에서 제가 준비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요? 사이드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문제에 대해 트러블슈팅을 해보고 이력서에 추가해야할까요? 지금은 현재 일하는 분야와 다른 기업으로 이직해서 경험을 더 쌓으려고 생각하고 있는데요, b2g 솔루션 기업에 지원한 상태이고 최종결과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입니다만, 이 기업은 약간 si, 솔루션 반반입니다. 만약 최종합격한다면 경험을 더 쌓을 생각으로 다니려고 하는데요, 좋은 생각일까요? 코테를 준비하라는 말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던데, 붙어도 면접에서 말할 게 없어서 불리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생각할 수록 머리가 복잡해져서 방향을 못잡겠습니다. 방향을 어떻게 잡아야할지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si
#커리어
#이직
답변 2
댓글 3
추천해요 8
조회 2,158
일 년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Jmeter 동시성 테스트 관련 질문입니다.
컴퓨터 1대로 Jmeter와 로컬 환경에서 서버를 띄우고 주문 -> 결제 -> 재고량 감소 API 테스트를 하려고 하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간단한 사이드 프로젝트 수준 입니다.) 기술 스택 : Java, Spring Boot, JPA, MySQL, OpenFeign 사용자 10000명이 동시에 주문 또는 결제하는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결과를 보고 싶은데 컴퓨터 성능의 이슈로 Dead-Lock이 발생합니다. 쓰레드 수를 늘려가며 에러율을 모니터링 한 결과 최대 500개까지는 Dead-Lock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동시에 10000개의 쓰레드를 감당하려면 어떤 부분을 고려해야 할까요? 스펙상 불가능하다면 10000명의 동시성 테스트를 대체하기 위해 어떻게 테스트 시나리오를 다시 짜야될까요? Jmeter의 Number Of Threads, Ramp - up period, loop - count를 어떻게 조정해야 할까요?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
개발자
#java
#spring
#mysql
#jpa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09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공부하던것과 다른 직무 채용연계 인턴 지원하기 vs 하던 공부 마저하기
안녕하십니까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자 자바, 스프링 공부하며 부트캠프를 알아보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프로젝트 경험을 쌓기 위해 부트캠프를 이것저것 지원하고 알아보고 있는 와중 현재 졸업예정인 캠퍼스앱에 추천채용 공고가 떠서 확인해보니 리눅스, 클라우드, 스크립트, 모니터링 툴 등의 경험이 있는 사람을 우대하는 시스템 관리자(sa) 경력/신입을 채용하는 공고였습니다. 아예 다뤄본 적도 없는 것들이고 지원한다 해도 붙을거란 기대도 안하고 붙더라도 정규직 전환까지도 기대하긴 어렵겠지만 높은 연봉과 추천채용에 혹 해서 지원이라도 해볼까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이 경우 제가 하던 공부와는 다른 직무의 3 4개월 인턴 경험이 제가 준비하던 커리어로 돌아가게 될 경우, 단순 돈만 받고 끝나버린 일회성 경험으로 끝나지 않을까 해서 망설여집니다. 앞으로도 공부를 하며 준비하던 직무와 거리가 있는 직무의 공고를 보고 지원하여 시간을 투자해볼만한 가치가 있는지, 아니면 하던 것에 집중을 하는게 더 좋을지 선배님들의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취업
#인턴
#스프링
#자바
#백엔드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321
일 년 전 · 박범수 님의 새로운 답변
IT asset management 포탈 구성 이해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제가 최근에 인턴을하면서 it asset 포탈을 구축과제를 부여받아 설계를 하고 있습니다. 먼저 it asset에 대해 공부를하며 이해를 하고 있는데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주로 소프트웨어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데 먼저 기본적인 요청 이행 배포 모니터링 서비스 폐기 등 sw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는것까지는 이해를 했는데 느낌이 아무런 배경지식 없이 봤을때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이 일종의 it asset의 일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여기서 내부sw를 포함하면 그게 it asset management가 아닌가?라는 느낌입니다) (api나 sw를 신청하고 과금상황이나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버전업, 필요한 sw검색 등 이런 기능을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하는것이 기능적으로 상당히 유사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혹시 이게 제대로된 이해인지 알수있을까요????
개발자
#it-asset
#itam
#it
#자산관리
답변 1
댓글 0
조회 58
2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웹개발자로서의 나아갈 길을 알려주세요
웹개발자가 꿈인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 일을 맡고 사람입니다. 올해가 다 끝나기 전에 리눅스 마스터 2급 가채점 최종 합격했지만 마냥 기쁘지가 않네요. 내년에 파이썬 코딩 공부랑 리눅스 마스터 1급을 진행할 예정이지만 이것만 가지고서는 제가 하고싶은 웹개발자 일을 들어갈 수 있을지 확실하게 알 수 없어서 너무 불안해집니다. 제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현재 가지고 있는 스킬과 자격증은 이렇습니다. 스킬 : JAVA, javascript, html, jquery, spring 개발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SQLD
개발자
#웹개발자
#자기개발
답변 1
댓글 1
조회 146
2년 전 · 장성호 님의 새로운 댓글
mvc api 호출 시 thread 상태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스프링에서 api를 호출할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RestTemplate 사용하여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제 예상으로는 api를 호출하게 되면 io 작업이 발생하여 컨텍스트 스위칭 작업이 발생하여 호출한 쓰레드는 응답이 올 때 까지 blocking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 판단하였습니다. 하지만 VisualVM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해본 결과 park 상태로 유지되던 쓰레드가 running상태로 바뀌며 해당 api의 응답이 올 때까지 running상태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응답 속도가 빨라 5초간 sleep 후 응답하는 api를 호출) 실제로 block이 일어나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실제로 컨텍스트 스위칭이 발생한 것은 커널레벨 쓰레드 쪽이라 visualVM이 이를 캐치하지 못한것인지.. (하지만 자바에서는 유저레벨 쓰레드와 1대1 매칭이 된다고 알고 있는데.. 유저 레벨 쓰레드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머리 속이 너무 혼란스럽네요ㅜㅜ 어떤 부분을 공부하면 될지 키워드라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개발자
#spring
#thread
#blocking
#nonblocking
#api
답변 1
댓글 2
조회 343
2년 전 · 류호준 님의 새로운 답변
AWS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aws ec2 인스턴스 t4g.small을 무료로 사용하고 있는 초보 학부생 입니다. 이론상 한달에 750시간 무료이기 때문에 24시간 돌려놔도 무료이지만 최근에 조금 과금 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마도 만들 때 cpu burst 무제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어서 cpu credit을 계속 사용해서 과금 된 것 같은데 궁금한 점은 제 프로그램을 돌리는데 cpu 성능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burst mode가 발동 된 것인가요 아니면 그저 24시간 프로그램을 하루 종일 돌려놓았기 때문에 과금 된 것인가요?? t4g.small의 vcpu 성능을 보니 20%로 제한되어있고 사용할 수 있는 cpu수는 2개 입니다. 따라서 인스턴스 cpu 사용률을 모니터링 했을 때 최대 40%로 제한되는게 정상인 것이지요??? 제 인스턴스 cpu 사용률을 모니터링 해보니 계속 50%로 가동되고 있고 cpu credit 사용량도 꾸준하게 사용하고 있더군요. 결국 제 프로그램을 24시간 계속 가동 시키기 위해선 더 좋은 인스턴스로 바꾸거나 cpu burst가 되게 냅둬야한다고 판단했는데 제가 생각하고 있는 내용이 맞나요??
개발자
#aws-ec2
답변 1
댓글 0
조회 310
2년 전 · 박범수 님의 새로운 답변
스프링부트 메모리 문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war로 말아서 리눅스 외장톰캣에 올려서 사용 중인데 올리고 2주정도 지나면 api호출시 응답이없어서 리눅스 서버에 가서 top로 확인해보니 메모리가 30정도 먹고 있네요 ( 보통 바로 띄웠을때 5 정도 먹습니다 ) 이러고 톰캣을 내렸다 올리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어디선가 쓰레드나 메모리 누수가 있는 것 같은데 이걸 하나하나 다 까볼수도 없고 actuator같은 모니터링 도구를 사용해야 할까요? 사용한다해서 특정로직이나 객체에서 문제가 있는걸 확인 할 수 있을까요..?
개발자
#java
#springboot
답변 1
댓글 0
조회 158
2년 전 · 정의헌 님의 답변 업데이트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 전향
안녕하세요 저는 27살 1년차 개발자입니다. 학부에서 컴퓨터 공학과를 재학하고 재학중 딥러닝 연구실에서 학부 연구생으로 1년 연구 진행했습니다. 현재는 소규모 스타트업에서 머신러닝 엔지니어로 1년간 일하는 중입니다. 현재 머신러닝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사수는 없는 상태이고 타 분야에서 개발을 오래한 CTO는 있는 상태입니다. 업무는 회사의 머신러닝에 관한 업무를 전반적으로 하고 데이터 전처리, 모델 학습 관리,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등 업무를 하고있습니다. 해당 업무 이외에도 인력 부족으로 사업 제안서의 기술 문서, 관련된 여러 문서 업무나 자잘한 개발 업무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저는 올해 까지만 재직하고 회사를 퇴사 하려고 합니다. 퇴사를 하려는 이유는 크게 2가지 입니다 첫번째는 머신러닝 직업에 대한 저의 경쟁력 때문입니다. 석사, 박사 출신들과 경쟁하는 AI 라는 분야에서 학사 출신에 저의 경험이 그렇게 경쟁력 있는 인재라고 생각되지 않고 저 또한 더이상 딥러닝 이라는 분야의 개발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는 서비스 개발로의 전향입니다. 회사에서 2달정도의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C# 기반)에 참여하여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을때 실시간 처리를 위한 워크 쓰레드 사용등 서비스 개발이 즐거웠습니다. 그 이후 퇴근 후 짬짬히 JAVA 스프링 강의를 들으며 개인 공부중입니다. 누군가는 퇴사후 이직이 아니라 재직하면서 다른 웹 서비스 기업으로 이직하라고 하지만 제가 봤을때 웹 백엔드 개발에서 현재 저는 좋은 주니어 개발자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당장의 업무도 AI 관련 업무가 아닌 여러 국가 프로젝트 지원 업무 등 회사의 발전을 위한 업무 이지만 제 커리어적으로 발전되는 느낌이 없어서 퇴사를 하려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퇴사후 부트캠프나 타 교육을 6개월 정도 공부하고 다시 취업에 도전하거나 최대한 칼퇴 후 개인 공부 후 이직을 하려고 합니다. 선배님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추가로 신입 백엔드 개발자가 가져야할 기본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개발자
#spring
#인공지능
#백엔드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976
2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모니터링 관제를 보고 있는데 이게 맞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자바 기반으로 개발을 하고 있는 벡엔드 개발자입니다. 개발을 하면 할 수록 뭔가 좀 그런거 같아서 한 번 질문드려봅니다. 최근 저희 회사에서 자바 기반으로 모니터링 관제가 만들어졌는데요. 해당 모니터링 관제 내용을 보면 jvm내에서 힙 메모리 사용량, 쓰레드 갯수, 상태, minor(major) gc pause avg(max) time 등등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하나하나 세세한 부분까지 해서 볼 수 있는 모니터링이라고 보시면 될 거 같은데요. 처음 나왔을때 보니까 뭔가 신기해 보이긴했는데, 이걸 통해서 좀 더 안정적인 서비스를 만드는데 도움준다는 것은 동의합니다. 한 서비스 내에 여러 부분에(쓰레드 갯수, 혹은 상태) 기준이 있는데 기준이 넘어가면 위에서 지적을 하게 됩니다. 다만 처음에만 그렇지 이게 시간이 지날수록 힘든 것보다는 좀 답답하다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여러가지 중에 하나는 이상수치에 관한 기준입니다. 예를 들면 minor gc를 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멈추게 되잖아요.(stop-the-world) 그 시간이 100ms 이상이면 이상이 있다고 알람이 울리거든요. gc pause time이 100ms가 넘어가고, 그게 지속적으로 쭉 유지가 되는 부분인거라면 애플리케이션 기능,규모 혹은 트래픽 상태에 다를 수도 있겠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애플리케이션 기능, 규모, 혹은 트래픽 상태 이런 여러 가지를 고려하면서 기준점을 잡아야 하는데, 위에서 어떤 애플리케이션 관계없이 무조건 100ms 넘기면 안돼 이래버리니 이게 맞나 싶습니다. 심지어 트래픽 때문에 일시적(1~2초정도)으로 살짝 넘어간 상태에서 수치가 내려갔는데도 (이런 추이도 하루에 한 번정도), 위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이상이 있다고 판단을 해버리고(물론 엔드포인트 단에서는 잘 동작하고, 이거 관련해서 고객쪽에서 이슈 요청된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여지껏 정상적으로 쭉 동작하고 있었는데도 그런 모니터링 수치로 인해 리펙토링을 몇번씩 했던거 같거든요. 물론 같은 시간/패턴/수치로 알람이 계속적으로 울리게 된다면 의심정도는 하고 추후에 이상징후가 더 심해지면 개선을 하는거면 이해를 하는데, 그런상황은 아니라서 뭔가 불필요한 리소스를 계속 쓰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 위에 보고를 했는데, 지금 이렇게 알람 울리니까 알람 안 울리겠끔 개선해라라는 식입니다. 사실 저는 해당 모니터링 자체가 제대로 로깅을 하고 있는지도 의심이 갈 정도이긴 합니다. (사실 그런게 한두가지가 아니긴 하지만 여기서 말하기는 길기에 생략하겠습니다.) 어떤 근거로 인해 기준을 잡고 까다롭게 모니터링을 하는거면 이해를 하겠는데,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다른 회사에서는 모니터링을 어떻게 체크를 하는지, 혹은 원래 저렇게 고정된 기준을 가지고 모니터링을 관리하는지가 궁금합니다.
개발자
#자바
#모니터링
#벡엔드
#개발자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12
2년 전 · 이광욱 님의 질문 업데이트
Jdbc 연결시 loadbalance 기준
안녕하세요 java로 1초마다 수행하는 배치프로그램을 만들어놨습니다. 연결시 jdbc:oracle:thin: address1, address2, laod_balance=on, fail_over=on 위와같이 설정하여 사용중입니다. 프로그램이 한번 수행 후 마지막 finally에서 connection close()를 하고있습니다. 그런데 db1번서버, 2번서버 중에서 항상 1번서버만 접속하게됩니다. 리소스를 모니터링하면 항상 1번서버의 cpu만 50~80%사용중이고 2번서버는 거의 놀고있습니다. 실제 커넥션도 1번으로만 몰리고 1번 cpu가 80%이상으로 사용중이고, 2번에 세션이 없는데도 계속 1번으로만 접속이 됩니다. Q1. jdbc thin으로 사용할 때 loadbalance 동작 원리가 궁금합니다. 관련하여 자세한 설명이 있는 문서가 있다면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Q2. 접속url에서 절반정도 나눠서 address1, address2 순서를 바꿔서 설정하면 도움이 될까요? 1~5번 프로그램 : (address=1번서버) (address=2번서버) 6~10번 프로그램 : (address=2번서버) (address=1번서버) Q3. DB가 오라클11g인데 오라클에서도 체크해야할 부분이 있을까요?
개발자
#jdbc
#thin
#loadbalance
#oracle
답변 0
댓글 0
조회 74
2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인공지능 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대시보드를 만들고 싶은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한 회사에서 인공지능 시스템을 만드는 개발자 입니다. 여러 시스템을 개발하고 나면 그 시스템이 잘 돌아가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하고 싶은데요 이렇게 인공지능을 적용한 시스템들을 한꺼번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만들고자 합니다. 그런데 처음이다 보니 어떤 툴 들을 사용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혹시 전체적인 흐름이라든지 개발자분들이 자주 사용하는 툴이라든지 하는 것들이 있을까요? 공부자료도 좋고 조언이 필요해서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모니터링
#대시보드
#인공지능
#python
#streamlit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2
조회 204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pm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저는 스타트업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uiux포지션으로 합류했다가 pm직무를 제안받아서 지금은 pm으로써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저의 고민은 pm으로써 제가 지금 하고 있는것들이 맞는것인지, 다른 부분들은 놓치는게 없는것인지에 대해 선배님의 조언들 듣고싶어요. 스타트업이고 사수없이 하다보니 '이게맞나?' '잘 하고 있는건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저희 회사는 일주일에 한번씩 주간 회고를 작성하고 금주에 할 일에 대해 적어갑니다. 회고를 작성하면서 유입단에 문제가 있다면 해결방안을 생각해서 마케팅 파트에 제안을 하거나, 운영중인 상품이 문제라면 오퍼레이션 파트에 제안을 하고, 페이지 개선이 필요하면 제가 기획하고 개발자 분과 작업을 진행합니다. 그런데 각 파트별로 제안하고 나면 일주일 동안 제가 하는일이 별로 없는것 같다고, 더 생각해서 적어오라고 하세요. 데이터를 보며 모니터링하고 이런 업무는 당연한거니까 적지말라하시구요. 그래서 굳이 안해도 되는 일들을 적기도합니다. 그리고 현재 기술이슈로 자체 서비스를 정리하고 템플릿 사용해서 서비스를 운영중이여서 예전처럼 자유롭게 화면을 기획하고 수정할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언젠가는 저에게 서비스에 상품이 부족한것 같으니 제가 상품 소싱 방향이랑 타임라인 짜주고 매주 신상품 몇개씩 채울건지 목표 세워서 팀원분께 일 배분하라고 하길래 이건 소싱 담당자가 있는데 제가 하는게 맞냐고 물으니까 니일 내일 따져가면서 일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pm이 다양한 일을 한다지만 가끔은 다름 팀원의 영역을 침범해서 일을 하는건 아닌지에 대한 느낌도 들때가 있습니다. 다른 pm분들은 팀에서 어떤 실무를 하시나요? 제가 제 위치에서 잘 하고 있는건지 고민입니다..
개발자
#pm
#직장인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47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나이 많은 중고신입으로 웹개발자 취업 가능할까요?
메인업무 : 제안서 작성, 사업기획, ui/ux기획, 간단한 디자인, 기타 행정작업 개발 실무 경험 : 1. 반응형 모니터링 웹페이지 프론트 전담 - js, jquery - fetch 2. 반응형 모니터링 웹페이지 백엔드 전담 - python, django - unix, mariadb, rest api 3. 바코드, 숫자 인식 웹페이지 전담 - js, jquery ,python, django - unix, oracle, rest api, nginx, gunicorn, tesseract 비전공자이고, 학원 교육을 받은적은 없습니다. 회사에서 외주 프로젝트를 땄는데 웹개발자가 없어서 제가 해보고 싶어 맨땅에 헤딩질로 웹개발 쪽을 전담했습니다. 몇개 프로젝트를 해봤다고 제가 개발자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미팅만 나가도 고객사 개발자분들과 대화하면 못알아듣는 단어가 수두룩 하니깐요ㅎ 최근에는 취업을 도전해보려고 java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나이가 30대 중후반인데, 과연 누가 받아줄 지는 의문입니다만, 가능만 하다면 도전해보고 싶은 욕심이 많이 나네요.ㅠ
개발자
#백엔드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429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데이터 수집 시스템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데이터분석가 인턴으로 회사에 들어간지가 한달이 조금 넘었습니다. 현재 회사에서 분석이 아닌,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분석만 하다보니,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작업을 처음해보고 사수도 따로 없다보니 조언을 구할 곳이 없어서 이렇게 게시물로 조언을 요청드립니다.. 지식이 부족해 다소 어렵게 설명을 드려도 이해 부탁드리며, 제 글을 보고 “저 친구는 왜 저렇게 비효율적으로 하지? 이렇게 하면 좋을텐데”라는 생각이 드신다면 바로 댓글이나 쪽지 부탁드립니다. 제가 처음 올려봐서 쪽지 기능이 있나 모르겠네요.. 먼저, 간단하게 제가 진행하고 있는 데이터 수집 절차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컬럼이 한개인 4GB가 조금 넘는 데이터를 수집 코드에 불러와야 한다. 해당 데이터에는 도메인 주소가 담겨 있다. 2. 내 수집 코드는 불러온 데이터를 한행씩 조회하면서 수집을 진행한다. 3. 한 행에 있는 도메인 주소에 순서대로 http 접속을 해서 해당 도메인 주소가 사전에 설정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도메인 주소와 사이트에 접속해서 추출한 정수형 값을 DB에 저장한다. 4. 즉, 4기가의 데이터를 불러와 한 행씩 조회해가면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db에 수집하는 코드다. 5. 24시간 동안 코드를 돌리는 수집 예상 기간은 3개월 정도이다. 다음으로는 조금 구체적인 진행 사항을 말하겠습니다. 밑에서부터 길어지니, 바쁘신 분들은 위에 주요 절차만 보시고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파이썬만 사용할 줄 알기 때문에, 파이썬을 사용하여 class로 만들어 수집 코드를 짰다. 2. 데이터의 양이 많아서 메모리 부족 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나, 하둡과 아파치 스파크를 이용해봤다. 내가 조회할 데이터 파일을 하둡 HDFS에 업로드 한다음에, 아파치 스파크 클러스터를 구축했다. 그리고, pyspark 모듈을 이용해 파티션을 나눠 데이터를 불러왔다. 파티션으로 받아온 값을 리스트로 변환하여 순서대로 해당 도메인 주소로 접속하는 반복문을 진행하면서 데이터를 수집했다. 즉 파티션으로 데이터를 쪼개서 1번 파티션부터 n번 파티션까지 각각 파티션 내부에 도메인 주소 리스트가 반복문을 진행된다고 보면 된다. 각 파티션이 다른 파티션으로 전환되는 과정도 반복문으로 처리했다. 하나의 파티션 마다 내가 만든 class(도메인 리스트를 인자로 받는다)가 한번씩 실행된다고 보면 된다. 3. 수집 속도가 너무 느려서 class에 있는 수집 메소드를 멀티 스레드 방식을 이용해서 수정해주었다. 수집 속도가 매우 빨라졌다. 4. 기존에는 aws의 클라우드 db(dynamo db)를 사용했지만, 과금 문제로 인해 로컬에 db를 설치하기로 했다. 쓰기 속도가 매우 빠른 redis db를 선택했다 5. 위에서 설명한 반복문을 돌면서 조건에 일치한 도메인 주소와 정수 값은 한 행씩 redis db에 key(도메인주소) value(정수값) 형식으로 저장하도록 코드를 만들었다. 이 과정도 class 내부에 포함되어 있다. 6. redis는 on memory db이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분석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해서 1시간마다 redis에 있는 데이터를 postgresql db로 옮겨주는 코드를 따로 만들었다. postgresql db에 미리 redis에서 옮겨갈 테이블을 생성해두었다. redis의 key였던 도메인 이름을 첫 번째 필드에 프리이머리 키로 저장했고 value인 정수 값을 2번 째 필드에 값으로 넣어줬다. 그리고, 마지막 필드에는 자동으로 데이터가 저장될 때, 현재 시간이 넣어지게 테이블을 만들었다. 총 3개의 열로 구성된 테이블에 1시간에 한번씩 redis에 저장해두었던 데이터가 옮겨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7. 처음 redis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ttl을 설정해서 1시간 10분이 지나면 redis db에서 데이터가 자동으로 소멸되도록 설정했으며, 만약 postgresql에 중복된 데이터가 들어간다면 자동으로 무시하고 다음 작업을 진행하도록 테이블 설정을 해줬다. 즉,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수집되고 자동으로 시간이 지나면 데이터가 소멸되는 redis db에서 1시간마다 한번 postgresql로 옮겨주는 코드를 따로 만들었다. 8. 수집 코드를 spark-submit 명령문으로 실행해주었다. spark-submit 명령어 앞에 nohup을 해줘서 백그라운드에서 코드가 실행되게 해줬고, 로그 결과를 따로 파일을 만들어 저장되도록 했다. 그리고 파이썬 실행 파일 내에서도 로그를 입력하는 코드를 만들어서, 도메인의 http 접속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로그 파일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도록 했다. 예를 들어, http 접속이 잘 된 도메인 주소는 로그에 “INFO 도메인 주소: success” 이렇게 기록하고, 타임아웃 에러, 접속 에러, redirect 오류, db 저장 오류는 모두 종류별로 예외 처리해서 로그에서 기록되도록 코드를 구성했다. 파이썬에서 자체적으로 로그를 기록한 파일은 수집코드를 실행하면서 파티션이 전환될 때마다 하나씩 생성된다. 이제 이렇게 제가 실행할 코드는 24시간 내내 수집을 진행하는 코드 하나와 1시간에 한번 데이터를 옮겨주는 스케줄러 코드로 총 2개가 됩니다. 저는 이 코드와 수집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두 도커를 활용하였으며, 사용한 컨테이너와 부가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spark-master: 하둡과 스파크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컨테이너로 standalone모드로 spark-summit 명령어로 파이썬 파일을 실행해주었다. --conf 옵션으로 메모리, 하트비트 간격, 파티션 수 를 지정해주었다. 스파크와 하둡을 처음 사용해봐서 약간의 개념만 있는 상태에서 돌려보니 아직도 세부 설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결국 worker를 1개 생성해서 파이썬 파일을 처리하도록 하였다. 현재 대다수의 오류가 이 컨테이너에서 발생한다. redis: spark-master에서 실시간으로 실행되고 있는 수집 코드에서 선별된 데이터들이 redis 컨테이너에 있는 redis db에 저장된다. postgresql: 1시간에 한번 redis에 있는 데이터를 옮기기 위해 postgresql 컨테이너를 생성했다. schduler: 1시간에 한번 postgresql 컨테이너에서 작동하고 있는 postgresql db에 redis 데이터를 옮겨주기 위한 스캐줄러 코드를 실행할 컨테이너다. redis-monitor: 실시간으로 redis db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redis-monitor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웹에서 모니터링 툴인 Redis-Stat에 접속한다. postgre-monitor: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postgresql db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생성한 컨테이너로 웹에서 Pgadmin4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총 6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내 수집 코드를 실행했는데, 여기서 많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제가 가진 의문과 문제를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수집 코드를 실행한 다음에 스케줄러 코드를 실행해주었는데, (서로 독립된 컨테이너에서 실행) 두 코드가 DB에 동시에 접속할 때,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2. 수집 코드를 실행하고 몇분이 지나면 터미널이 먹통이 되고, 코드가 더 이상 실행이 안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너무 많은 자원을 사용하고 있어서 그런건가.. 컴퓨터 사양이 안좋아서 그런건가 원인을 잘 모르겠다.. 3. spark-submit 로그를 보면 내 노트북에서는 안그러는데, 대용량 파일을 불러오는 과정에서 파티션 별로 데이터를 정리할 때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 executor가 통신이 안된다는 경고 메세지도 자주 나오고, 특히, Remote RPC client disassociated 라는 오류가 가장 많이 나온다. 내 컴퓨터보다 높은 사양의 클러스터를 구축하려고 해서 그런가. 검색해보니 네트워크 문제이거나, 컨테이너에 할당한 자원을 초과해서 그런거라고 한다. 대용량 데이터를 불러오는 다른 방법을 강구해봐야되나 고민하고 있다. “그래서 요점이 뭐야” 라고 물어보신다면, 저는 현직에서 활동하고 계신 데이터 엔지니어, 백앤드 개발자 분들이 제 글을 본다면 “아니 굳이 왜 그렇게 하지? 이렇게 쉬운 방법이 있는데” 또는 “저기서 이렇게도 해봤나?, 이러면 안정적으로 코드를 돌릴 수 있을텐데”라는 반응으로 갈릴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수집
#아파치스파크
#redis
#python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7
조회 914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APM(모니터링 서비스)에서 경력을 쌓으면 APM으로만 커리어를 이어 나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Front-end 개발자로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은 취준생입니다! 취업하는데 도메인 선택으로 인해 고민이 있어 개발자 선배님들의 의견을 여쭤보고 싶어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주말에 쉬시는데 정말 죄송합니다ㅠㅠ) 최근에 APM 도메인에 관심이 있어 알아보았고 Front-end개발자는 모니터링 툴을 개발하며 주로 데이터 시각화 업무를 하는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저의 궁금증은 1. APM(모니터링 서비스)에서 경력을 쌓으면 APM으로만 커리어를 이어 나갈 수 있을까? 입니다. APM 도메인에서는 커머스 등 많은 회사에서 사용하는 빠른 기술 변화가 일어나는 기술 스택(SSR, 상태 관리 등)에 대한 경험을 쌓기가 어려운 것 같더라구요. 나중에 이직해야 하는 상황일 때, 어려움이 있을까?에 대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2. APM에서 경력을 쌓아도 사이드 플젝 등 자기 계발하면서 다른 도메인으로 이직 준비를 해도 문제는 없을지 선배님들의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개발자
#front-end
#프론트엔드
#apm
#커리어-고민
#데이터-시각화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172
3년 전 · 김상우 님의 새로운 답변
물경력5년차 이직준비하려니 온갖 걱정이 다들어요
안녕하세요 저는 년차로는 5년차가 끝나가는 개발자입니다.. 문과출신에 대학교4학년때 해외취업으로 자바개발연수가 있어 처음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을 해서 해외에서 첫 개발자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일반적으로 해외취업시 나가는 SI기업이 아닌 스타트업회사에 입사해서 일을 하게 되었는데 워낙 소규모고 개발자출신PM정도 급 되는 상사분과 바로 일을 하게 됐는데 그 상사분은 거의 임베디드개발을 하셨고 웹은 전혀 모르셨기 때문에 기획정도만 하시고 실제 개발은 제가 주도적으로 제가 알고있는 아주 작은 지식에서 주먹구구식으로 일을 계속 해왔습니다 다행히도 언어적으로는 크게 문제가 없었어서 어쩌다 보니 클라이언트 미팅도 같이하게 되고 기획부터 마지막 테스트까지 전부 제가 주도적으로 하게됐습니다 신입개발자에게는 있기 힘든 경험이었기 때문에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연수때배웠던 기초적인 자바지식으로만 주먹구구 돌려막았기 때문에 좋게말하면 창의적으로 나쁘게 말하면 잔머리만 늘어서 아는 지식내에서 어떻게든 기능구현을 했던 것 같아요 그러니까 당연히 효율성이니 속도는 전혀 생각도 못하고 일을 했구요.. 그렇게 약 3년정도 3개웹프로젝트를 하다가 퇴사를 하고 한국에 돌아왔습니다 그때 가장 스트레스는 해외에서 이직면접시 프레임워크를 하나도 안써봤던 것 때문에 몇번 위축되다보니 프레임워크를 못하면 계속 일을 못하겠구나 해서 급하게 국비지원 학원에서 연수를 받아서 스프링은 사용할줄 알게되었고 다시 한국에서 2년정도 근무를 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들어간 회사에서도 유지보수가 대다수였고 코드를 보는 일보다는 모니터링 하는 일이 너무 많았습니다.. 이것도 좋게 말하면 리눅스나 네트워크에 대해서 좀 주워들은게 많아서 대략적인 지식이 생겼긴하지만 그렇다고 아주 잘 아는 단계가 된 것도 아니구요.. 그래서 또 현타가 와서 퇴사를 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이직을 하려고하니.. 5년차도 거의 다 채워서 6년차가 되어가면서도 아직도 내가 뭘 정확히 할 줄 알고 어디까지 잘 할 수 잇다라고 말할 수 있는 개발자인지 전혀 모르겠어요.. 그래서 차라리 해외경력을 빼버릴까 년차를 깍아서 2년차 3년차 개발자로 들어가면 그건 나에게 도움이 되는게 맞을까 매일 그 걱정만 하고있습니다.. 경력을 깍고 코테를 준비하는게 나을까 그래도 내 년차유지하려면 사이드프로젝트로 포폴을 준비하는게 맞을까 여기저기 고민만하면서 쑤시다보니 이것도 저것도 아닌상황으로 시간이 가니까 온갖 걱정만 더 늘어나고 해결은 안되고 우울함만 커지거 어디가서 속터놓고 얘기할 곳이 없어 글 씁니다..ㅠㅠ
개발자
#java
#웹개발
#백엔드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1,699
3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신입 AWS 포트폴리오 수준
이제 취업을 준비해야할 소프트웨어 공학과 대학생(전공심화) 4학년입니다. 이력서도 중요하지만 포폴또한 중요한것을 알기에 열심히 공부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공부하는거라 장애물들이 많네요 ㅎㅎ 서론이 길었습니다 본론을 말하자면 회사에서는 어느정도 수준의 신입 AWS 포트폴리오를 원할까요? 단순히 3-tier 아키텍처를 포폴을 하자니 부족한거 같고 거기에 auto scaling 이나 Load Balancing을 추가해도.. 모자란거 같고 자빅스나 cloudwatch 같은 모니터링을 추가해야할지 아니면 이거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복잡한 환경을 구축해야할지 고민입니다..
개발자
#백엔드
#aws
#클라우드
#포트폴리오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0
조회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