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 tells creators to start labeling certain AI content | Digital Trends
Digital Trends
유튜브가 AI 라벨링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요. 업로드한 영상들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생성형AI로 제작됐는지, 시청자가 잘 알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조치를 플랫폼 단에서 취하고 있네요. 가장 최근 내놓은 툴은 ‘실제처럼 보이는 콘텐츠(유튜브의 정의에 따르면 시청자들이 진짜 사람, 장소, 사건이라고 쉽게 오해 및 오인할 수 있는 콘텐츠)’의 경우 시청자들에게 ‘생성형 AI를 포함한 변형 및 합성 미디어를 사용해서 만든 영상’이라고 알려줍니다.
즉 다음과 같은 영상에 라벨링을 하는 것입니다.
- 실제 인물의 초상 활용: 콘텐츠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경하여(생성 AI를 포함한 변형 또는 합성 미디어를 사용하여) 한 사람의 얼굴을 다른 사람의 얼굴로 대체하거나 사람의 음성을 합성하여 동영상에 삽입한 경우
- 실제 사건이나 장소의 변경: 예를 들어 실제 건물에 불이 붙은 것처럼 보이도록 만들거나 실제 도시 풍경을 실제와 다르게 보이도록 변경하는 등의 경우
- 사실적인 장면 생성: ‘실제 마을을 향해 이동하는 토네이도’와 같은 가상의 주요 사건을 사실처럼 보이게 묘사하는 경우
유튜브는 플랫폼에 업로드된 전체 영상을 대상으로 수 주 안에 해당 툴을 출시하면서 이를 따르지 않는 크리에이터에게 어떤 조치를 취할지도 발표하겠다고 밝혔어요. 앞으로 건강, 뉴스, 선거, 금융 등 보다 민감한 주제와 관련된 콘텐츠의 경우에는 라벨이 동영상 자체에 표시될 것이라고도 하네요.
선거를 앞두고 유튜브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플랫폼들이 생성형AI 등을 활용한 허위/가짜 정보를 막는 데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어요. 적어도 그렇게 보이도록 최대한 조치를 취하는 것 같기도 하고요. 그만큼 효과가 얼만큼 있느냐가 중요할 것 같고, 플랫폼들은 조치의 효과에 관해서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19일 오전 10:44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