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쇼츠 최대 3분으로 연장… '미드 폼' 경쟁 불 붙는다

유튜브의 숏폼(짧은 동영상) 서비스 '쇼츠' 최대 길이가 3분으로 늘어나고 AI를 활용한 쇼츠도 가능하도록 개편될 예정이다. 숏폼 분야에서 이미 국내외 플랫폼들이 치열한 경쟁이 펼치고 있는 가운데, 중간 길이의 동영상인 '미드폼'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숏폼 경쟁 지각 변동 있을까

13일 유튜브에 따르면 오는 15일부터 유튜브에 올릴 수 있는 쇼츠 1편 최대 길이가 1분에서 3분으로 바뀐다. 1분을 초과하는 긴 쇼츠 영상에 대한 추천 알고리즘도 새로 적용할 예정이다. 연내에는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비오(Veo)'도 유튜브 쇼츠에 통합한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말하듯 입력하면 AI가 쇼츠의 배경을 만드는 등 도움을 줄 수 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메타도 자연어를 이미지나 영상으로 만들어주는 AI '에뮤 비디오'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플랫폼도 짧은 동영상 승부수

유튜브가 '1분 영상'에 이어 '3분 영상'까지 쇼츠 서비스에 끼워넣으면서 국내 플랫폼도 '3분 경쟁'에 합류할 지 주목된다. 최근까지 네이버·카카오는 숏폼 창작자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는 한편 생성·노출 환경을 자사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는 등 변화에 공을 들이며 숏폼 이용을 늘리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

네이버는 지난달 26일 모바일 통합검색에 추가한 '클립탭'은 1분보다 길다. 현재 '네이버 클립'은 최대 2분(120초)까지 올릴 수 있다. 카카오는 포털 다음에 '오늘의 숏'을 통해 1분 이내의 숏폼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타 플랫폼이 누구나 올릴 수 있는 오픈형 숏폼인데 반해 오늘의 숏은 전문 파트너사들이 제작한 숏폼 영상을 제공받으며 차별화 전략을 내세웠다. 카카오 관계자는 "숏폼 탭 오픈 이후 '오늘의 숏' 이용자수와 재생수가 늘고 있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며 "수익화 프로그램도 시작하며 양질의 콘텐츠 사업자와의 제휴를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https://v.daum.net/v/20241013183859351

유튜브 쇼츠 최대 3분으로 연장… '미드 폼' 경쟁 불 붙는다

다음 - 서울경제

유튜브 쇼츠 최대 3분으로 연장… '미드 폼' 경쟁 불 붙는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0월 18일 오전 5:1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당구실력에 비유한 프로젝트 관리자(PM)의 역량향상

    PM의 역량은 교육이나 지식만으로 향상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실전을 통해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지혜를 축적해야 PM 역량이 향상된다. 이는 스포츠 실력향상과 비슷하다. 당구실력 향상을 PM 역량향상에 비유하면 다음과 같다. 

    ... 더 보기


    [흥미로운 비유]
    우리가 MVP에서 시작해서 복잡성을 키워가는 방식으로 접근해야하는 이유: “진화”

    "100년 전 사람들이 보잉747 여객기를 처음 봤다고 생각해보자.

    그들은 자기가 목격한 것을 복제하는 일에 착수했다.

    ... 더 보기

    2019년 저서 <생산성 마스터가 되는 비법(How to be a Productivity Ninja)>으로 인기를 얻은 그레이엄 올콧은 투자은행을 대상으로 연설을 했는데 “친절함이 모든 것의 원동력이 된다. 당신이 친절하면 이긴다. 그게 전부”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청중은 이에 동의했지만, 일부는 매우 강하게 반대했다.

    ... 더 보기

    성격 나빠도 일만 잘하면 된다? 친절한 직원이 성과도 좋다 - 매일경제

    매일경제

    성격 나빠도 일만 잘하면 된다? 친절한 직원이 성과도 좋다 - 매일경제


    발표의 목적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발표에 쫓기면 발표 자체가 목표가 되어버린다. 준비가 부족할수록 발표 자료는 많아지고, 말하는 속도도 빨라진다. 이렇게 급하게 진행된 발표는 참석자들이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 발표를 마친 후 "질문 있으시면 말씀하세요."라고 해도 반응이 없다면, 실패한 발표의 증거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