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1. 대도시 밀집 주거 -> 중소도시 단독 주거 2. 대규모 사무실 밀집 근무 -> 주거와 업무 공간 일치화 3. 대중교통 -> 자가용 서울 도심에 있는 대형 빌딩으로 출근하기 위해 몇 번이나 대중교통을 갈아타는 일. 출퇴근 시간을 줄이기 위해 회사 인근의 비싼 주거단지를 감당해야 했던 시대도 점점 마무리되는 느낌이네요. 코로나-19는 '이런 식으로도 가능할까?' 생각만 하던 개념들을 순식간에 실행에 옮길 수밖에 없는 환경으로 몰아 넣었습니다. 이젠 모두가 알게 됐죠. 가능하다는 걸. 심지어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는 걸 말예요. 어쨌든 시대는 완전히 다른 패러다임으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주거와 업무, 일상과 미래가 통째로 바뀌는 복판에 있다는 걸 매일매일 느낍니다. 좀 길지만 천천히 일어봄직한 기사 안에, 이미 새로운 삶의 설계를 시작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대도시 떠나는 사람들, ‘직주근접’ 대신 ‘직주일치’ 온다

한겨레

대도시 떠나는 사람들, ‘직주근접’ 대신 ‘직주일치’ 온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0월 12일 오전 4:5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요즘 사람들이 가장 많이 AI를 활용하는 분야 Top 10

    1

    ... 더 보기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Harvard Business Review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 

    저장 6 • 조회 829


    < 초동 100만 장, 그런데 팬은 어디 있죠? - 엔터 테크와 데이터로

    1

    ... 더 보기

    일 잘하는 사람은 AI를 어떻게 쓸까?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24 • 조회 4,217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통신방법 한번에 정리해 드림

    ... 더 보기

    WebSockets vs Server-Sent-Events vs Long-Polling vs WebRTC vs WebTransport | RxDB - JavaScript Database

    Rxdb

    WebSockets vs Server-Sent-Events vs Long-Polling vs WebRTC vs WebTransport | RxDB - JavaScript Database

     • 

    저장 173 • 조회 7,510


    이직의 조건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