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토스벤처스 부트캠프
네이버 블로그 | IGM세계경영연구원 블로그
- 알토스는 한국의 특성(5000만 이상, 하나의 인종, 수도권 밀집 등)을 잘 살릴 수 있는 Tech 기반 B2C 회사들에 투자를 집중했다.
- 창업을 시작할 때는 무조건 시장을 좁히고, 좁히고, 좁혀서 아주 뾰족한 문제를 먼저 찾아야 한다.
- Retention이 높고 First-Mover Advantage가 있는 시장.
- B2C에서는 유저가 클릭 몇 번 하는 게 정말 큰 허들이다. 따라서 pain point가 정말 크거나, 아니면 미친 듯이 편하거나 둘 중 하나는 성립해야 한다.
- 가정에, 가정에, 가정을 거듭하면서 점점 현실과 동떨어진 결론에 도달하고 있진 않은가?
- 왜 앱이 필요해? 왜 대면 상담을 해야 해? 왜 구독 모델이어야 해? 등 왜 그 방법이 제일 효과적인가에 대해 정확한 대답을 갖고 있지 않다는 건 생각을 매우 게을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 플랫폼 아이템은 보통 초기에 양질의 공급자를 데려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창업자 입장에서 VC 투자는 '가장 비싼 돈'이다. 따라서 VC 투자가 정말로 필요한 것인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 많은 창업자들이 ‘경쟁사 분석’을 소홀히 한다. 국내를 대상으로 할 경우보다 특히 글로벌 시장을 타깃하는 회사일수록, B2B 회사일수록 더욱 집요하게 경쟁사를 분석해야 한다.
- 알토스는 지금 당장 수익을 내는 것을 딱히 좋다고 보지는 않는다. 살아남을 수 있는 거긴 하네…정도. 오히려 성장성, 시장 이런 게 중요하다.
- 캐치테이블과 비슷한 서비스는 정말 많았지만 캐치테이블이 성공한 이유는 B2B에서 쓰는 솔루션에서 먼저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모든 비즈니스는 파다 보면, 안되는 이유가 있고 하기 싫어진다. 그치만 열심히 파다 보면 생각하지 못한 기회가 발생한다.
- 저렴한 가격을 ‘우리의 장점’으로 가져가는 것은 최후의 수단이다.
- Fact와 가정과 가설을 잘 분리하자.
- 여기 부트캠프에 올 정도의 사람들이면 사실 뭘 하던 일평생 기대소득은 비슷하다. 그래서 돈이 목표라면 창업은 굳이...
- 창업자는 항상 "좋은 사람들을 어떻게 데려와서 우리 회사가 성장할 수 있을까?"만 고민한다.
- 나는 무엇을 잘하고, 무엇이 부족한지를 "진짜로" 알아야 나한테 지금 당장 필요한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있다.
- 대표는 "지금 우리 회사에 절대 나가면 안 되는 사람이 누구고 그 사람들이 지금 뭐 하고 있는지"를 언제나 언제나 알고 있어야 한다.
- 창업은 운이다.
- 창업은 정말 힘들다. 창업하기 전에 "내가 10년 후에 성공을 못하더라도 후회가 없을 것 같은지" 생각해 봐라.
https://m.blog.naver.com/cjuz89/223355668351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4월 2일 오전 8:22
1
... 더 보기1. 우리는 음악이 우리의 기대를 충족하고 우리의 기대를 위반 하는 방식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1. 커리어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일단 내가 가진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남들의 시선과 판단도 무시할 수 없다. 이직 트렌드와 경향도 살펴봐야 한다.
... 더 보기팀장님들, 질문 하나 드려보겠습니다! 오늘은 몇 개의 질문을 들으셨나요? 아마 매일 매일 한 100개 쯤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요ㅎㅎㅎㅎ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