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텍스트가 힙한 이유

1. (요즘) Z세대에게 독서, 낭독회, 북 클럽 등이 떠오르고 있다. 여전히 독서량은 OECD 최하위라지만, 20대 독서율은 74.5%로 성인 독서율 중 가장 높았다.

2. 동네 책방을 운영하는 친구 J도 처음 책방을 연 8년 전과 달리 이젠 20대 독자가 매출의 70%를 차지한다고 했다.

3. 통계에 잡히지 않는 Z세대의 움직임은 분명 더 있다. (물론) Z세대란 단어가 식상하지만,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특정 세대를 일컫기에 사용한다. 이들은 인터넷이 없던 시절을 한 번도 겪지 않은 디지털 원주민이다.

4. Z세대가 대하는 독서는 다르다. 이들은 ‘텍스트 힙’이란 신조어를 만들었다. 독서, 기록 등을 힙하다고 여기는 것이다. “(기성 세대들이 책을 잘 안 읽은 등 텍스트는) 귀하니까 힙한 것"

5. (그리고 이들의) 텍스트 소비는 종이책이나 전자책에 국한하지 않는다. 단적인 예가 인스타그램 매거진의 유행이다. 인스타그램 매거진은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운영되는 잡지 형태의 계정을 말한다. (아이즈 매거진, 데패뉴 등이 대표적인 사례)

7. (이들 계정에는) 기존 카드 뉴스보다는 글이 많고, 잡지 기사처럼 특정 인물 인터뷰, 시의성 있는 칼럼 등이 실린다. (오프라인 잡지는 죽어간다고 하지만, 인스타그램에서 매거진 계정 등은 수십만 팔로워들을 확보하고 있는 셈)

8. 그리고 Z세대의 독서는 (디지털에만 머무르지 않고 서울국제도서전 등) 오프라인 체험으로 향한다.

책을 읽는 세대가 등장했다

Vogue korea

책을 읽는 세대가 등장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7월 15일 오전 4:4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기다림이 말해주는 것에 대하여》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taetaetae.github.io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저장 21 • 조회 1,736


    AI 시대, 데이터 분석에 대해 새롭게 정의해야 하는 이유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우리는 다양한

    ... 더 보기

    요즘 Claude Code와 OpenAI Codex를 진짜로 말로만 코딩하는 실험을 주기적으로 하고 있는데, 어제 Claude Code와 Codex를 통해 꽤 복잡한 개발을 처음으로 성공했다.


    Claude로 만든 건 아주 기본 기능만 있는 코드에 알고리즘을 확장하고 테스트용 프론트엔드를 만드는 것. 한두줄 정도만 직접 수정을 했다.


    ... 더 보기

    "배포했으면 스펙이지"

    어떤 서비스가 버그를 가진채로 출시되었고, 사용자들이 그 버그를 전제로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리고 그 위로 너무 많은 새로운 기능들이 쌓여있다면 그건 버그가 아니라 스펙(기능)이라는, 언젠가부터 들었던 업계의 유명한 블랙 유머다.

    ... 더 보기

    잘 되는 상품기획의 특징

    이 일을 하다 보면 브랜드 쪽에서 “잘 되는 상품은 뭔가요" 라는 질문을 하실 때가 있다. 아마 내가 여러 카테고리와 브랜드를 해봤기 때문에 주시는 질문일 것이다. 운이 좋게도 경험했던 조직들과 지금의 일이 상품기획자와 같이 붙어서 일을 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마케팅과 BM을 해오면서 느꼈던 잘 되는 상품들이 갖고 있던 조건들은 아래와 같았다. 단, 대략적인 제품 필요성 여부와 카테고리, 재구매성 여부를 어느정도 정해놨다는 가정하에.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