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부자에서 기업가로, 일본 부자 변천사

1.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일본이 전후 복구 과정을 거쳐 선진국에 진입한 연도를 보통 1970년께로 본다. 서방 선진국 수준으로 경제력이 올라온 데다 1964년 도쿄올림픽과 1970년 오사카 엑스포를 계기로 세계적 위상이 높아진 덕분이다.

2. 1970년 일본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014달러(약 277만 8900원)으로, 한국의 281달러(약 38만 7700원)의 7배가 넘었다.

3. 1980년대 중반, 국민소득에서 미국을 앞섰던 일본은 버블 경제 붕괴로 1990년대 이후 저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 사이 일본 부자들의 모습도 변했다)

4. 각종 자료를 분석한 결과, 1970년대에는 (일본 부자 중에서) ‘땅 부자’ 가 많았으나 2024년에는 기업을 창업한 주식 부자가 주류가 되었다.

5. 흔히 억만장자로 불리는 거부(巨富)는 현금과 재산을 매우 많이 가진 사람을 지칭한다. 2024년 기준 억만장자(billionaire)는 10억 달러(약 1조 3798억 원) 이상 자산 보유자다.

6.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일본이 경제 선진국에 합류한 1970년 억만장자 수는 전년보다 50% 증가해 사상 처음으로 1000명을 돌파했다. 상위 100위 가운데 92명이 전국 주요 도시에 토지를 보유한 땅 부자였다.

7. 1971년에도 고액 소득자 상위 100인 가운데 95명이 땅 부자로 채워졌다. 전설적인 기업가로 꼽히는 마쓰시타전기를 창업한 마쓰시타 고노스케는 11위에 그쳐 18년 만에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8. 1979년에는 제2차 오일쇼크로 물가가 치솟았다. 지가(地價)가 물가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땅 부자가 더 늘어났다. 상위 100인 가운데 59명이 토지를 매각한 사람이었으며, 억만장자 수는 전년보다 두 배 증가했다.

9. (반면 2024년) 올해 일본 억만장자 순위 1위는 의류 브랜드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패스트 리테일링의 창업자 야나이 다다시 회장이다. 패스트 리테일링은 올해 창립 40주년, 주식 상장 30주년을 맞았다. 1949년생인 야나이 회장의 보유 자산은 5조 9000억 엔(약 51조 3300억 원)에 달한다.

10. 2위는 소프트뱅크그룹 창업자인 손 마사요시가 차지했다. 보유 자산은 전년보다 61억 달러(약 8조 4168억 원) 늘어난 270억 달러(약 37조 2546억 원)를 기록했다.

11. (이처럼 현재 일본 부자 Top 50위 안에 드는 부자는 대부분 기업가들이었다. 즉, 과거 부자들이 땅을 소유했다면, 요즘 부자들은 기업을 소유하고 있는 셈)

2024년 일본 최고 부자 50인은 누구인가

n.news.naver.com

2024년 일본 최고 부자 50인은 누구인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9월 18일 오후 11:32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