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액트 개발자도 알아야 할 시그널 패턴: 프론트엔드 최신 트렌드 총

프론트엔드 개발 세계는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어요. 그 중심에 '시그널 패턴'이라는 새로운 물결이 일고 있죠. Vue와 Svelte 같은 프레임워크들이 이미 도입한 이 패턴은 이제 React 개발자들의 관심도 끌고 있어요. 오늘은 이 시그널 패턴이 무엇이고, 왜 주목받고 있는지, 그리고 프론트엔드 개발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시그널 패턴이란?

-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위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에요

- 값이 변경될 때만 정확히 해당 부분을 업데이트해요 (핀포인트 업데이트)

- 전역 변수를 활용해 각 시그널의 호출 환경을 기억해요

간단한 코드 예시로 살펴볼까요?

```javascript

const count = signal(0);

const doubleCount = computed(() => count() * 2);

effect(() => {

console.log(`Count: ${count()}, Double: ${doubleCount()}`);

});

count.set(5); // 콘솔에 "Count: 5, Double: 10" 출력

```

이 코드에서 count가 변경되면, doubleCount와 effect 내의 로직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돼요.

💪 시그널 패턴의 강점

- 성능 최적화: 전체 리렌더링 대신 필요한 부분만 업데이트해요

- 직관적인 코드: 복잡한 상태 관리 로직을 간소화해요

- 반응성: 값 변경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가 이뤄져요

🔍 현재 사용 현황

- Vue 3: 시그널 패턴을 템플릿 엔진과 결합하여 시그널 패턴을 사용해요

- Svelte 4,5: 컴파일러를 활용하여 쉽게 시그널 패턴을 사용하게 해요

- SolidJS, Preact: 순수 자바스크립트로 시그널을 사용해요

- React: 현재는 컴포넌트 전체 재평가 방식을 사용하지만, 과연 미래엔 어떨까요?

🤔 개발자로서 생각해볼 점

- 시그널 패턴이 제공하는 성능 이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 테이블이나 에디터 라이브러리에 시그널 패턴을 도입한다면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요?

- 프레임워크의 발전 방향을 예측하고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23년도에는 React 코어 팀에서 signal을 리액트에 도입하면 어떨까에 대한 트윗이 논의되었어요. 현재 리액트는 props의 값 비교를 통해 리랜더링을 최소화하고 있지만, props 비교는 조상님이 해주나요?? 여전히 리액트의 최적화는 한계가 있습니다. 현재 리액트 컴파일러는 React.memo를 대신 씌워주는 방식으로 최적화를 해주고 있는데 jsx 파싱과 결합해서 시그널을 적용하면 vdom이 사라지진 않더라도, 메모리나 성능 측면에서 이점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1월 10일 오전 10: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정직한 경험 소개

    

    ... 더 보기

    퇴근길 지하철에서 중년 사내와 20대 후반의 한 젊은이가 필자의 앞에 나란히 앉아 있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법이지.” 중년 사내가 젊은이에게 건네는 말 한마디가 내 귀에 들려왔다. 그 순간 나는 묘한 추억에 빠져들었다.

    ... 더 보기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자리가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매일경제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자리가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컨텍스트 스위칭 - AI 코딩 부작용

    ... 더 보기

    컨텍스트 스위칭 - AI 코딩 부작용

    K리그 프로그래머

    컨텍스트 스위칭 - AI 코딩 부작용

    < 1등을 베끼는 당신이 1등이 될 수 없는 이유 >

    1. 당신 자신을 믿어라. 결코 모방하지 마라.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6 • 조회 4,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