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트코드 스터디 5기 모집 공지 · DaleStudy/leetcode-study · Discussion #1599
lnkd.in
어제 밤에 Stateful 서버에 크리티컬한 문제가 생겼었다. race condition 문제인 것 같은데 넘 졸려서 GPT/o1-preview 한테, “야 이 코드에서 잠재적인 문제 있는지 확인해봐”라고 했더니 예상했던 문제를 정확히 발견하고 리팩토링까지 뙇..
코드 리뷰하기도 귀찮아서 그냥 복붙하고 실행했는데 그냥 한 방에 해결되었다..(…) 잠깐 놀랐지만, 혹시 몰라 코드를 확인해보니 심지어 내가 짠 것 보다 엘레강스함..(…)
GPT가 코딩을 잘 하긴 해도 아직 Stateless 서버에 CRUD 정도만 잘 합니다..라고 했던게 두어달 전인데, 이젠 진짜 나보다 잘한다.. 정말로 1년 안에 지가 혼자 개발 다 할 듯..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1월 29일 오전 4:10
안녕하세요 사주 gpt 만드신거 보고 여쭈게되었습니다. gpts통해서 사주관련 만들어보고싶은데, 사주명식 계산을 어떤식으로 하셨는지 여쭤도 될까요? 또한 만세력을 첨부하신건지 궁금합니다. 불편드렸다면 죄송합니다 ㅠㅠ
GPT가 코딩하는게 아니라 누군가 github에 올려놓은 코드 검색해서 찾아오는 것
하지만 방금 버그를 하나 발견했고, 인간 개발자로써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었다 후후.. 아직..은 말이지.. 🫠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앞으로의 코테는 설명을 주고 코드를 짜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를 주고 설명을 하라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내 경우는 이미 그렇게 하고 있는데, 요구사항을 주고 개발을 요청. 결과물이 요구사항대로 개발이 잘 되었다면, 다음 단계로 제출한 코드를 리뷰하며 설명을 요청한다.
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