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useEffect를 남용하지 마세요!
velog.io
오늘은 네이버의 안샛별님이 번역해주신 글입니다.
리액트 개발자에게 리렌더링은 어떤 숙명과도 같은 존재일 것입니다. 단 한 줄의 코드만으로 리렌더링을 여러 번 유발할 수도, 한 번으로 감소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은 useEffect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성능이 악화되는 사례를 정리하고 개선된 코드를 소개합니다. 어렵지 않은 글이라 리액트를 많이 해보지 않았더라도 가볍게 읽기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글 링크: https://velog.io/@typo/leave-useeffect-alone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2월 2일 오전 12:54
AI들 코딩 스타일이, GPT는 구글같고, Claude는 메타같음. Gemini는 부트캠프..🫢
그래서 응용레벨 코딩에는 Claude가 낫고, 로우레벨 코딩에는 GPT가 나은 편.
* 당연하지만 개인적인 느낌일 뿐 입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과 그에 참여하는 팀들에 대해 말이 많은데, 방법이 뭐가됐든 결국은 가장 좋은 성능을 내는 모델을 만들 수 있는지가 중요한거 아닌가.
사후학습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그 성능이 세계 최고 수준이면 큰 의미가 있다. 사후학습으로 누구나 세계 수준의 모델을 만들 수 있다면 이런 사업은 애초에 발의조차 되지 않았을테다.
오히려 아무리 프롬-스크래치로 만들었다고해도 그것의 성능이 그저그렇거나 성능 수치조차 공개하지 못할 정도라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나. 그저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죽은 기술이 될 뿐이다.
“국가 독자 AI 사업자” 1차 선정이 차주에 발표난다. 결과에 따라 이 정부가 정말 신뢰할만한 정책을 펼 것인가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진짜로 자격이 있는 곳이 어디어디인지는 사실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공모한 곳 중 Top 5를 선정해봤는데 판단하기 정말 쉬웠기 때문이다.
인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