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JavaScript의 표준을 만드는 TC39에서 Shu-yu Guo가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발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언어를 JS0과 JSSugar 두가지로 나누자는 제안을 정리하고 제안한 문서를 한국어로 번역한 글입니다. 원 문서도 번역되어 있어서 편하게 읽었습니다.


언어는 두가지로 나눈다니 놀랄수 있지만 그리 크게 영향 받을 일은 아니긴하고 JS0과 JSSugar가 이름이 좀 촌스럽긴 하지만 초기 제안이라 받아들여지더라고 이름은 바뀔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습니다.


문제의식에는 어느정도는 공감이 되었는데 요즘 많은 개발 상황을 보면 JavaScript로도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하지만 TypeScript로도 개발하고 더 최신 언어 기능을 쓰기 위해서 개발한 뒤에 Babel 등의 컴파일러를 써서 다시 JavaScript로 컴파일하고 이를 배포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JavaScript는 보통 브라우저나 node.js같은 런타임에서 실행이 되는데 여기서는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므로 최신 기능을 도입하기도 하지만 보안과 성능 등 신경 쓸 부분이 많이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TC39에서는 JavaScript의 새 기능을 스테이지를 나누어서 도입 단계를 관리하지만 새로운 기능을 계속 추가하고 싶은 언어쪽 상황에 비해서 브라우저쪽은 아무래도 신경쓸게 많아서 어느정도 보수적인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게 되어 양쪽의 입장이 충돌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 제안은 JS0은 브라우저 등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되고 여기에는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 기능이 포함되기 때문에 브라우저는 어느정도 확인된 기능만 천천히 도입할 수 있게 되고 사실 컴파일러를 안쓰고 자바스크립트로 개발한다면 JS0으로 개발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대신 Babel같은 컴파일러 입장에서는 아직 브라우저에서 구현되지 않은 새로운 기능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이를 JavaScript로 컴파일하게 되므로 여기는 JSSugar로 정의해서 새로운 기능을 빠르게 도입하면서 컴파일러가 JS0으로 컴파일하게 하자는 제안합니다.


어떤 면에서 보면 지금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도 명확하게 구분되는 느낌도 있습니다.


https://medium.com/@jiwoochoics/%EB%B2%88%EC%97%AD-js0-jssugar-%EC%A0%9C%EC%95%88%EC%97%90-%EB%8C%80%ED%95%9C-%EC%83%9D%EA%B0%81-172d2e5203b5

(번역) JS0/JSSugar 제안에 대한 생각

Medium

(번역) JS0/JSSugar 제안에 대한 생각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2월 4일 오후 5:2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해외 취업이 목표라면 지금부터 알아둬야 할 20가지 자료

    1️⃣ 취업 루트 및 경험담 01. 미국 취업 루트: https://careerly.co.kr/comments/51260 02. 캐나다 취업 허가증 수령 경험담: https://careerly.co.kr/comments/56992 03. 미국 이민/해외 취업 준비 중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것: https://careerly.co.kr/comments/56991 04. 실리콘 밸리 개발자의 7가지 찰랜지: https://careerly.co.kr/comments/72236 05. 미국 생활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 https://careerly.co.kr/comments/52097 06. 미국 취업 비자, 4월이 가장 절망적일 수 있는 이유: https://careerly.co.kr/comments/54680 2️⃣ 영어관련 자료 01. 개발자에게 필요한 영어 실력: https://careerly.co.kr/comments/56961 02. 영어 공부팁: https://careerly.co.kr/comments/60926 03. 영어 독해 공부법: https://careerly.co.kr/comments/67571 3️⃣ 면접... 더 보기

     • 

    댓글 2 • 저장 262 • 조회 7,680


    사이드 프로젝트 34개를 만들고 느낀점 10가지

    1️⃣ 아이디어의 가치는 실행했을 때 비로소 생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8 • 조회 5,820


    <🇺🇸 미국 취업 루트?> 미국, 캐나다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취업 루트 몇 가지 알려드립니다 (현재는 미국 정착). 이 포스팅은 몇 가지 옵션을 간단하게 소개하기 위해 공유합니다. 이민 전문 변호사가 아니기 때문에 자세한 정보는 변호사와 상담해보세요. 1️⃣ 미국 대학 졸업 + OPT/OPT STEM EAD 수령 미국 정부에서 인정하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하면 취업할 수 있는 OPT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OPT는 비자가 아니며 취업 권한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문과는 대게 1년이며 이과는 1+2, 총 3년입니다. 문제는 OPT의 경우 기간이 짧고 이 기간 내에 영주권 수령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후 미국 6년짜리 취업 비자인 H1B 스폰서십을 받아야 합니다. OPT는 회사가 스폰서 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라서 이직이 비교적 자유롭고, 해고당하더라도 취업 권한이 사라지지 않고 다른 회사에 다시 취업할 수 있습니다. 굳이 미국 대학이 아니라도 2년 대학원 유학을 통해 OPT/OPT STEM 자격을 얻어서 취업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 H1B 회사가 스폰해주는 미국 취업 비자입니다. 총기간은 6년이지만 3년마자 재 신청해서 총 6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대학을 나오더라도 미국 회사 인터뷰 통과 후 스폰만 해준다면 지원할 수 있습니다. 굳이 미국 대학을 나오지 않아도 됩니다. 문제는 H1B 수령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습니다. 로또처럼 무작위로 정해진 숫자만큼 뽑는데, 지원자는 3배 이상 많아서 성공률이 33% 이내로 적습니다. 3️⃣ 외국계 취업 후 L1비자로 미국 본사로 이직 캐나다 있을 때 가장 많이 본 케이스입니다. 미국 회사의 외국 지사에 1년 근무하면 L1비자를 스폰받을 수 있습니다. L1수령 후 미국 본사에서 근무 가능합니다. 물론 회사에서 해줘야지만 받을 수 있는 비자이지만 L1은 H1B처럼 정해진 숫자가 있는 게 아니라 서류와 인터뷰 심사만 잘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에는 3개월에서 6개월이면 수령할 수 있어서 주변의 많은 지인들이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이직했었습니다. 단점이라면 L1은 회사에서 해고당하는 날 바로 한국으로 귀국해야 합니다. L1 기간 중 회사에서 영주권을 스폰해주면 다행이지만, 안 해주고 해고당하면 언제든지 나갈 준비를 해야 하... 더 보기

    코딩 인터뷰 중 AI를 사용해도 될까요...? 🤔

    코딩 인터뷰를 하던 중 지원자로부터 AI를 써도 되겠냐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도 되냐고 물어보는 지원자는 종종 만나는데, AI를 써도 되느냐는 질문은 처음 받아봐서 좀 당황스럽더군요. 어떤 용도로 AI를 사용하시려는지 물어보았고, 익숙치 않은 프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5 • 조회 4,062


    AI로 인해 영어는 이제 진짜 말하기만이 답 입니다. 그리고 말만 할 줄 알면 기회가 정말 크게 넓어질거구요.


    이제는 모두가 체감하고 있듯이 앞으로 영어로 읽기 쓰기는 큰 의미가 없어지겠지만, 말하기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거든요.


    ... 더 보기

    Amazon CEO가 얘기하는 성공적인 커리어를 위한 최고의 팁 5가지


    ... 더 보기

    Amazon CEO Andy Jassy shares his top tips for a successful career: ‘Don’t be afraid to fail’

    www.aboutamazon.com

    Amazon CEO Andy Jassy shares his top tips for a successful career: ‘Don’t be afraid to fail’

     • 

    저장 13 • 조회 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