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next for generative AI in 2025?
Computerworld
2024년에는
생성형 AI(genAI) 시범 프로젝트의 급증
높은 실험 비용 및 불확실한 효과에 대한 우려 제기
이는 기업들이 비즈니스 결과에 초점
데이터 품질 개선
인재를 육성하는 데 집중
2025년에는
대기업들은 AI 전략 우선
GenAI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비즈니스-IT 협업 강화
대규모 언어 모델(LLM) 시범 프로젝트에서 실제 프로덕션 전환 예상
SLM(소규모 언어 모델)도 주목받으며 특정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데 기여
기업들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AI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 및 아키텍처를 채택 예정
[ 예측 AI와 생성형 AI]
예측 AI
기계 학습과 통계를 사용하여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이벤트나 행동을 예측하는 기술
Forrester는 전체 AI 사용 사례 중 50% 이상이 예측 AI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
유지보수, 개인화, 공급망 최적화, 수요 예측 등에서 검증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투자 이동 전망
생성형 AI
GAN(생성적 적대 신경망)과 같은 심층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콘텐츠(예: 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합성 데이터) 생성
생성형 AI와 예측 AI의 시너지
미래에는 예측 결과를 활용하여 생성형 AI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접근 방식 증가 예상
Forrester는 현재 28%에서 2025년까지 35%로 증가 예상
[ SLM(small language models)의 부상 ]
SLM
경량화된 생성형 AI 모델, 100억 개 이하의 매개변수를 가진 모델
모델의 뉴럴 네트워크 크기, 매개변수 수, 훈련 데이터 양이 적어 더 적은 컴퓨팅 리소스 소비
LLM보다 비용 효율적이며, 정확성과 관련성 면에서도 더 나은 성능 제공
효율성
SLM은 온프레미스나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배포 가능
이는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자연스럽게 강화
범위
SLM은 금융, 헬스케어, 법률 서비스와 같은 전문화된 산업에서 우수한 성능 발휘
대표 모델
Google Gemini Nano, Microsoft Orca-2–7b, Meta Llama-2–13b 등
[ 에이전틱 AI(Agentic AI)의 가능성 ]
과제: 다중 모델 간의 시너지, RAG(정보 검색 강화 생성) 기술, 특수화된 전문 지식 간의 정렬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
성공 요인: 2025년까지 기업 CIO의 30%가 데이터 최고 책임자(CDO)를 IT 팀에 통합하여 AI 이니셔티브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
[ 멀티모달(Multimodal) AI의 성장 ]
멀티모달 AI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처리하며,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
응용 분야
의료: 의료 영상, 환자 기록, 실험실 결과를 통합하여 진단 및 치료 개선
금융: 고객 전화 문의 분석으로 문제 해결 지원
자동차: 카메라, GPS, LiDAR 데이터를 통합하여 자율주행, 응급 대응, 내비게이션 최적화
[ AI의 성공을 위한 준비와 리더십 ]
2025년에는 다음 세 가지 요소가 조직의 성공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
강력한 리더십: AI 전략을 주도하는 리더십의 중요성
데이터 품질: 깨끗한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
AI 인재 개발: 기업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
결론
생성형 AI는 2025년에도 계속해서 진화하며, 예측 AI와의 시너지를 통해 새로운 혁신 구현
조직들은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AI 솔루션을 통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며,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에 집중
source: https://www.computerworld.com/article/3627484/whats-next-for-generative-ai-in-2025.html?utm_date=20241231130752&utm_campaign=US%20AI%20in%20the%20Enterprise&utm_content=slotno-1-title-What%27s%20next%20for%20generative%20AI%20in%202025%3F&utm_term=Editorial%20-%20IDG%27s%20Top%20Enterprise%20Stories&utm_medium=email&utm_source=Adestra&huid=9d4dd075-c27c-4c62-a1cb-bedd06fa7033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2월 31일 오후 1:29
기존의 생성형 AI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반응하는 수준이었다면, 2025년에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하며 실행하는 에이전틱 AI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AI는 특정 업무를 독자적으로 처리하며, https://geometrylitegame.org 복잡한 목표를 자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