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입문에서는 기회비용이 가장 먼저 나온다. 내가 무엇을 선택함으로써 포기하는 가장 큰 선택 값이다. 떨어지는 주식에 물타기를 하다가 본전을 찾을 수 있지만, 손절하고 다른 주식으로 더 많이 만회할 수도 있다. 이런 선택들을 잘하려면 총비용의 개념도 돌아봐야 한다.
평당 평균 집값이 3,200만 원인 서울을 기준으로 집안의 물품의 보유비용을 다시 계산해 보면, 상상 이상의 가격이 나온다. 같은 논리로 책 한권은 약 8만원의 보유비용이 들기에 전자책을 선호하게 되고, 나 역시 중복되는 물건들을 당근마켓에 팔고 나서야 마음이 편해졌다.
"『침대는 거실에 둘게요』를 쓴 서윤영 건축 칼럼니스트는 이런 소박한 소비에 찬물을 확 끼얹는다. "가령 1.5m×2m짜리 더블 침대를 200만원에 합리적으로 잘 샀다고 생각하지만 대략 한평(3.3㎡)을 차지하고 있으니 3400만원이나 마찬가지예요. 침대값 200만원에 공간 점유 비용 3200만원을 더해서. 3년 만에 1200만원 더 올랐네요."
너비 0.8m 깊이 0.6m인 한쪽짜리 1인용 옷장 하나는 문 여닫는 클리어런스 공간까지 따지면 가격이 800만원에서 시작한다. 반 평 정도의 공간이 필요한 양문형 냉장고는 최소 1600만원짜리다."
< 💡 Spring Rest Docs 로 Swagger API 문서 관리 자동화 >
💬 Spring Rest Docs 란?
Spring REST Docs 는 RESTful 서비스의 문서화를 도와주는 도구이다.
문서 작성 도구로 Asciidoctor 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며, 이것을 통해 HTML 문서를 생성한다. 필요한 경우 Markdown 문법을 사용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RESTful API를 문서화 할때 중요한 포인트는 API 에서 필요한 HTTP 요청과 응답의 리소스를 설명하는 것인데 Spring REST Docs 를 사용할 경우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이러한 리소스와 HTTP 요청/응답에 대한 세부 내용을 문서화하는데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 Swagger 란?
RESTful API 를 약속된 규칙에 따라 json 이나 yaml 형식으로 문서화한 Open API Specification(OAS) 라는게 있는데 이 문서를 관리하기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레임워크다.
API 문서 자동화 도구로 Spring REST Docs 의 비교군으로 자주 등장하는데 Spring 을 사용할 경우 서비스 코드에 어노테이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