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멤버십 초대석 - 스타트업 개발자 최지웅 님

1. 올해는 멤버십 네트워크를 더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오랫동안 연간 멤버십을 이용하신 분들을 초대해 대화를 나누는 ‘연간 멤버십 초대석’이라는 모임을 시도할 예정이라고 한다.


2. 사람들이 간과하지만, 삶을 풍요롭게 채우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다채롭고 즐거운 대화’인데, 바쁜 일상에서 이를 경험하기는 쉽지 않달까?


3. 그래서 대부분 삶의 변화가 필요할 때 지적 자극을 받기 위해 강의 등을 듣지만, 그것들도 나름의 매력이 있긴 하나, 너무 준비된 형태의 메시지들은 들을 때는 그럴 듯하고 정교해보이지만, 삶과는 거리가 있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


4. 그래서인지 요즘은 그러한 빡빡한 메시지보다는, 대화를 통해 삶에서 저절로 우러나오는 메시지에 사람들의 관심이 더 쏠리고 있는데,


5. 요즘 유튜브에서 토크형 콘텐츠들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도 개인적으로는 이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편.


6. 편하고 재미있게 듣고 있는데, 그 안에서 배울 것도 있는 그런 느낌 말이다.


7. 그런 의미에서 멤버십 유니버스 내에서도 이를 오프라인으로 구현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고, 오랫동안 연간 멤버십을 이용한 분들부터 초대해서 대화를 나누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달까?


8. 사람들은 잘 모르지만, 썸원 유니버스에서 연간 멤버십을 수년째 이용할 수 있다는 건 각자 자신의 분야에서 어느 정도는 계속 존재감을 키워야만 가능한 일이니까.


9. 아니, 실제로 연간 멤버십 회원분들 중에는, 경기나 외부적 상황이 어려운데도 더 잘 나가는 분들이 계시고, 설령 지금 상황이 어렵더라도 어려울 때일수록 오히려 좋은 콘텐츠를 보는 데 더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더라.


10. 어려운 상황이 오면 움츠러들고 수세적으로 변하기 마련인데, 그럴 때 소소하게나마 자신에게 투자하는 것이 결국에는 반전을 만들어낸다는 걸 잘 아시니까.


11. 그래서 그런 분들을 한 분 한 분 초대해, 양질의 대화를 나누는 모임을 만들어볼까 하는데, 첫 대화를 지웅 님(최지웅)과 나누기로 했다리. 사실 지웅 님은 꽤 오래전에 처음 뵈었는데, 뵐 때마다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을 하시는 모습이 멋있었다.


12. 그리고 이번에 이직한 회사가 최근 상장하면서, 지웅 님께서는 SI부터, 스타트업, IT대기업, 상장사까지 경험한 개발자가 되셨는데,


13. 요즘처럼 어려운 시기에 스타트업 씬에서 거의 모든 사이클(?)을 경험한 지웅 님과의 대화는 뭔가 굉장히 값질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달까? (호호)


14. 관련해 ‘연간 멤버십 초대석’에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는 자세한 내용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고, 연간 멤버십 회원분들께는 소소하지만 파격적인(?) 할인도 드리고 있숩니다 ;).


https://somewon.notion.site/18346dbced9580c5bba1dc57389d3ac7

[연간 멤버십 초대석] 개발자 최지웅 님

Somewon on Notion

[연간 멤버십 초대석] 개발자 최지웅 님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2월 13일 오전 3:55

조회 85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우리가 믿는 사실은, 결국 뇌가 만든 이야기에 불과하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 • 조회 620


    코딩 인터뷰 중 AI를 사용해도 될까요...? 🤔

    코딩 인터뷰를 하던 중 지원자로부터 AI를 써도 되겠냐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도 되냐고 물어보는 지원자는 종종 만나는데, AI를 써도 되느냐는 질문은 처음 받아봐서 좀 당황스럽더군요. 어떤 용도로 AI를 사용하시려는지 물어보았고, 익숙치 않은 프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7 • 조회 4,126



    🕊️ Java의 ExecutorService 스레드 풀 정복하기

    ... 더 보기

    Java의 ExecutorService 스레드 풀 정복하기

    덕토피아

    Java의 ExecutorService 스레드 풀 정복하기

     • 

    저장 27 • 조회 3,200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MCP 가이드

    ... 더 보기

     • 

    저장 38 • 조회 2,489


    <🇺🇸 미국 취업 루트?> 미국, 캐나다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취업 루트 몇 가지 알려드립니다 (현재는 미국 정착). 이 포스팅은 몇 가지 옵션을 간단하게 소개하기 위해 공유합니다. 이민 전문 변호사가 아니기 때문에 자세한 정보는 변호사와 상담해보세요. 1️⃣ 미국 대학 졸업 + OPT/OPT STEM EAD 수령 미국 정부에서 인정하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하면 취업할 수 있는 OPT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OPT는 비자가 아니며 취업 권한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문과는 대게 1년이며 이과는 1+2, 총 3년입니다. 문제는 OPT의 경우 기간이 짧고 이 기간 내에 영주권 수령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후 미국 6년짜리 취업 비자인 H1B 스폰서십을 받아야 합니다. OPT는 회사가 스폰서 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라서 이직이 비교적 자유롭고, 해고당하더라도 취업 권한이 사라지지 않고 다른 회사에 다시 취업할 수 있습니다. 굳이 미국 대학이 아니라도 2년 대학원 유학을 통해 OPT/OPT STEM 자격을 얻어서 취업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 H1B 회사가 스폰해주는 미국 취업 비자입니다. 총기간은 6년이지만 3년마자 재 신청해서 총 6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대학을 나오더라도 미국 회사 인터뷰 통과 후 스폰만 해준다면 지원할 수 있습니다. 굳이 미국 대학을 나오지 않아도 됩니다. 문제는 H1B 수령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습니다. 로또처럼 무작위로 정해진 숫자만큼 뽑는데, 지원자는 3배 이상 많아서 성공률이 33% 이내로 적습니다. 3️⃣ 외국계 취업 후 L1비자로 미국 본사로 이직 캐나다 있을 때 가장 많이 본 케이스입니다. 미국 회사의 외국 지사에 1년 근무하면 L1비자를 스폰받을 수 있습니다. L1수령 후 미국 본사에서 근무 가능합니다. 물론 회사에서 해줘야지만 받을 수 있는 비자이지만 L1은 H1B처럼 정해진 숫자가 있는 게 아니라 서류와 인터뷰 심사만 잘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에는 3개월에서 6개월이면 수령할 수 있어서 주변의 많은 지인들이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이직했었습니다. 단점이라면 L1은 회사에서 해고당하는 날 바로 한국으로 귀국해야 합니다. L1 기간 중 회사에서 영주권을 스폰해주면 다행이지만, 안 해주고 해고당하면 언제든지 나갈 준비를 해야 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