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가 2040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장 내 추구미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젊은 직장인들은 연봉 못지않게 도덕성, 공정성, 회사 운영방식과 가치관 등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20~40대 직장인 1252명을 대상으로 ‘연봉이 높아도 다니고 싶지 않은 회사’를 주제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34.5%가 ‘부도덕한 관리자나 임원이 있는 회사’에는 아무리 연봉이 높아도 이직•취업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 같은 응답에는 40대 이상(30.8%)보다 20대(36.4%)와 30대(34.5%) 직장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공정을 매우 큰 가치로 여기는 MZ세대에게 불공정한 임원과 상식에 어긋나는 관리자는 참을 수 없는 존재라는 의미다.


다음으로 ‘나와 맞지 않는 회사의 운영 방식 및 가치관’(33.9%)이 꼽혔다. 젊은 세대가 직장을 선택할 때 ‘먹고 사는 문제’보다 ‘일하는 방식’이나 ‘가치관의 공유’가 더 중요한 기준이 됐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밖에 ▲공정하지 않은 보상 체계(30.6%) ▲방향성 없는 업무 지시(25.6%) ▲무기력한 사내 분위기(15.4%) 등도 이직을 고민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답했다. 직장인에게는 업무만큼이나 일하는 환경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직장 내 추구 가치’를 묻는 질문에는 전 세대 공통으로 ‘워라밸’ (50.3%)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들었다. 특히 2030 절반 이상이 워라밸을 최우선으로 여긴다고 답했다. MZ세대 직장인들은 ‘회사에 다닌다’는 개념보다 ‘삶의 균형 속에서 일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분석이다.


‘인정•보상’(44.6%)과 ‘성장가능성’(35.3%)을 꼽기도 했다. 40대 이상은 보상을 우선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조금 더 젊은 층은 성장가능성에 가중치를 뒀다.


또 직장인들은 ‘업무 몰입을 위해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 ‘명확한 목적과 방향 제시’(49.8%)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개인 역량에 맞는 직무와 업무량 부여(48.2%) ▲성과에 대한 피드백과 인정 (38.2%)이 뒤따랐다.


‘이 일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공감과 설득은 물론, 나에게 맞는 역할을 부여하는 조직에 있을 때 업무 몰입도가 높아질 것이라 기대했다. ‘어떤 사람들과, 어떤 분위기 속에서, 어떤 가치를 공유하며’ 일하는지가 중요해진 시대이다.


단순히 회사의 이름값과 좋은 처우만 좇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가치관과 방향성, 개인의 성장가능성까지 고려하는 직장인이 많아졌다. 그만큼 기업들도 인사와 조직문화 측면에서 더 심도 있는 고민을 동반해야만 인재 유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2040 직장인의 추구미 "연봉보다 중요한 건..."

톱클래스

2040 직장인의 추구미 "연봉보다 중요한 건..."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6월 20일 오후 12:29

조회 45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뤼튼'의 이상한 광고, 만든 사람에게 직접 의도를 들어봤습니다

    ... 더 보기

    “이래도 되나?” – 뤼튼의 이상한 광고 만들기 – 제일 매거진

    magazine.cheil.com

    “이래도 되나?” – 뤼튼의 이상한 광고 만들기 – 제일 매거진

    < ‘나다움’을 잃는 순간, 모든 것을 잃는다 >

    1. 당신 자신을 믿어라. 결코 모방하지 마라. 매 순간 자기 재주를 내보여라. 평생에 걸쳐 쌓아온 누적된 힘을 보여줘라.

    ... 더 보기

    미 육군 리더십센터는 리더십, 조직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세계 유수 연구기관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곳이다. 특히 불확실한 상황하에서의 의사결정, 위기 관리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미 육군 리더십센터의 연구성과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독성 리더십(Toxic Leadership)’에 관한 것이다.

    ... 더 보기

    `독성 리더십`은 어떤 것? 미군 내부조사 결과 보니 - 매일경제

    매일경제

    `독성 리더십`은 어떤 것? 미군 내부조사 결과 보니 - 매일경제

    < 가장 위대한 창작은 ‘경계’에서 탄생한다 >

    1. 세상에 없던 새로운 건 모두 한 사람의 상상에서 시작된다. 그 결과인 창작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