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는 매일 아침 책상에 앉아 모니터를 켜고, 무언가를 만들어낸다. 그렇다면 당신이 회사에 제공하고 있는 ‘아웃풋’의 본질은 무엇인가.
2. 일의 아웃풋은 세 가지 레이어로 나뉜다. 시간, 결과, 그리고 성과.
3. 첫 번째, 시간이다. 가장 원초적인 아웃풋이다. 우리는 시간을 회사의 급여와 맞바꾼다. 컨베이어 벨트가 돌아가던 제조업 시대에는 이것만으로 충분했다. 정해진 시간 동안 자리를 지키는 것, 그 자체가 가치였다.
4. 하지만 시대가 바뀌었다. 이제 엉덩이의 무게보다 머리의 밀도가 중요해졌다. 8시간을 채우는 것보다 1시간 만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큰 가치를 만든다. 시간을 파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1차원적 아웃풋이다. 여기에 머문다면 언제든 대체될 수 있다.
5. 두 번째, 결과다. 시간을 투입했다면, 이제 결과를 내놓아야 한다. 보고서 한 편, 코드 한 줄, 디자인 시안 하나. 손에 잡히고 눈에 보이는 산출물이다.
6. 많은 직장인들이 이 ‘결과’를 일의 끝으로 착각한다. 보고서를 제출하는 순간, 프로젝트가 배포되는 순간, 일이 끝났다고 믿는다. 하지만 결과는 마침표가 아니라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기 위한 쉼표에 가깝다. 결과는 2차원적 아웃풋이다. 눈에 보이지만, 그 자체로 완전한 의미를 갖진 않는다.
7. 마지막은 성과다. 결과가 ‘무엇을 했는가(What)’에 대한 답이라면, 성과는 ‘그래서 무엇이 달라졌는가(So What)’에 대한 답이다. 보고서를 완성한 것은 결과다. 그 보고서 덕분에 팀이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렸다면, 그것이 성과다. 신규 기능을 런칭한 것은 결과다. 그 기능 덕분에 유저의 이탈률이 5% 줄었다면, 그것이 성과다.
8. 결과는 목적이 아니다. 그 결과를 통해 우리가 처음 이루려던 의도와 가치가 실현될 때, 비로소 성과가 된다. 성과는 보이지 않는 ‘목적’과 눈에 보이는 ‘결과’를 연결해 진짜 가치를 만든다. 이것이 3차원적 아웃풋이다.
9. 이제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당신은 오늘 어떤 아웃풋을 내고 있는가. 시간을 팔고 있는가. 결과를 만들고 있는가. 아니면, 성과를 내고 있는가.
10. 일의 본질은 언제나 마지막에 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10월 24일 오전 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