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가 Documentation을 잘 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 도구의 관점이 아닌, 개발자의 성향/특성 관점에서 접근해본 글이네요. 매우 흥미롭게 읽은 것 같습니다. 꽤 규모가 있는 곳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한번 읽어보시면 공감 가는 부분이 많을 만한 포스트 입니다. 글을 잘 쓰기 위한 방법에 대한 해결책도 의미있게 제시되어 있네요. 한가지 추가로 덧붙여 보고 싶은 이야기는, 작은 팀에서는 분명 더 고려해보아야 할 요소가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좋은 Documentation을 바탕으로 팀원간에 커뮤니케이션이 무리가 없도록 할 수 있다면 정말 좋겠지만, 그것은 Science 관점에서의 이야기 일 수 있고, Engineering 관점에서는 Documentation을 통해 얻을 수 있는 Communication의 효용과, Speed 간의 Trade-Off를 항상 고민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잘 정돈되지 않은 Documentation은 항상 모든 개발자들에게 부채로 남겠지만, 그 부채를 통해 다른 효용 (빠른 개발 속도, 간결한 Communication) 을 얻을 수 있는 여지도 분명하기 때문에, 항상 우리 프로젝트에 가장 큰 효용을 가져다줄 수 있는 선을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것이 알고 싶다 - 왜 개발자는 글을 못 쓸까? - LINE ENGINEERING

LINE ENGINGEERING

그것이 알고 싶다 - 왜 개발자는 글을 못 쓸까? - LINE ENGINEERING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2월 22일 오전 9:5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3 • 조회 3,033


    차세대 파이썬 패키지 매니저 uv 소개 영상

    h

    ... 더 보기

    Introducing swiftly 1.0

    S

    ... 더 보기

    swiftly 1.0

    iOYES

    swiftly 1.0

    무너지고 있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직군의 경계에 대한 고찰

    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3,741


    아직도 루비 온 레일즈

    ... 더 보기

    Ruby on Rails #46번째 소식

    팁스터

    Ruby on Rails #46번째 소식

     • 

    저장 4 • 조회 3,225


    나는 시스템 빌더이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