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시선, 영화와 관객을 이어주는 사람 - 땅끝마을 해남의 작은 영화관에서 시작된 김시선과 영화의 우연한 만남. - 직장을 그만두고 영화 일을 시작한 건 운명이었다. 소도시 문화센터에서 어린이·노인 대상 영화 해설을 하고 1세대 독립영화 잡지 ‘시선일삼’도 냈던 그는 2014년 유튜브로 발을 넓힌다. 첫 채널 ‘시선 플레이’를 만든 당시는 영화 유튜버가 손꼽히던 시절이었다. - "일어나면 넷플릭스·왓챠·아마존 같은 OTT 신작부터 체크하고, 낮에는 극장을 돌아다니며 유튜브 콘텐츠 대본을 만들어요." OTT 정착 이후 국내외 인기드라마까지 챙겨보는 김시선은 새벽에 보고 싶던 영화를 챙겨 보고 잔다고 한다. - 성실함이 무기. 지난해 10~11월 유튜버들이 체스 소재 넷플릭스 드라마 ‘퀸스 갬빗’ 시리즈 리뷰를 쏟아내던 당시 김시선은 세계적인 사이트인 체스닷컴에 전화를 걸었다. 그리고 유일한 한국 직원과 통화를 주고 받으며 체스에 관한 여러 해설을 포함한 영상을 한 달쯤 후에 업로드했다. - 곧 리뷰할 중동 배경 왓챠 시리즈 ‘징벌’을 위해서는 전문가와 접촉해 중동의 종교와 문화를 정리하고 있다고 한다. - 이처럼 공을 들이니 일반적인 리뷰보다 더 재미있기 마련이다. ‘종이의 집’ ‘빌어먹을 세상따위’ ‘퀸스 갬빗’ 등 리뷰 콘텐츠 조회 수는 수백만회가 기본이다. - 고전 명작과 예술·다양성 영화도 아울러 20대부터 50대까지 구독자 연령대가 고르게 포진해있다는 것도 이 채널 만의 특징.

그의 시선 머무는 곳에 영화가... 하루 5편 보는 시네마 길라잡이

국민일보

그의 시선 머무는 곳에 영화가... 하루 5편 보는 시네마 길라잡이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18일 오후 11:0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2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2025 NYU REUNION DAY! 테헤란로 소진언니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