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가지 와닿는 부분을 짚어보면, 선진국이 된다는 것은 ‘정의’를 내린다는 것이다. 앞보다 뒤에 훨씬 많은 나라가 있는 상태, 베낄 선례가 점점 줄어들 때 선진국이 된다. ‘세상의 변화가 이렇게 빠른데 어떻게 토론을 하는데 2년이나 쓰나?’라는 생각이 떠오를 수 있다. 독일이 그렇게 2년여의 시간을 들여 낸 백서를, 화들짝 놀라서 교과서처럼 읽고 베낀게 4년전이다. 독일은 2년이나 시간을 들였지만, 우리보다 4년이 빨랐다. 긴 호흡으로 멀리 본 결과다. 미국은 데이터법에 아예 포맷을 못박고 있다. 예를 들어 백악관의 관리예산처(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OMB)는 반드시 하나의 통일된 데이터 형식, 즉 “스키마”를 유지관리하여 모든 연방 지출 보고서를 구조화할 것을 법령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데이터법 정보모델 스키마(DATA Act Information Model Schema: DAIMS)(링크)라고 불리는 이 스키마는 쉽게 말해 정부 예산 보고서를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포맷이다. 미 연방정부는 이 포맷을 공개해 다른 정부기관들도 쉽게 쓸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정부가 공개하는 데이터는 ‘기계가 읽을 수 있어야 한다’(Machine readable)는 원칙을 법으로 구현한 것이다. 사회의 가장 뛰어난 자원들이 정부의 CIO, CDO로 이 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조그마한 회사들도 다 CTO, CIO를 갖고 있는데 정작 한해 예산 558조의 정부에 CIO 한명이 없다는 건 터무니 없는 일이다. 미국도, 영국도 진작에 다 하고 있는 일이다.

[박태웅 칼럼]눈을 떠보니 선진국이 돼 있었다

inews24

[박태웅 칼럼]눈을 떠보니 선진국이 돼 있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20일 오전 7:1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가장 위대한 창작은 ‘경계’에서 탄생한다 >

    1. 세상에 없던 새로운 건 모두 한 사람의 상상에서 시작된다. 그 결과인 창작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더 보기

    < ‘나다움’을 잃는 순간, 모든 것을 잃는다 >

    1. 당신 자신을 믿어라. 결코 모방하지 마라. 매 순간 자기 재주를 내보여라. 평생에 걸쳐 쌓아온 누적된 힘을 보여줘라.

    ... 더 보기

    미들캡 딜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준오헤어의 초기 매각가는 5000억원대로 거론됐다가 현재 8000억원대로 치솟았다. 블랙스톤 KKR 칼라일 등 글로벌 대형 PEF들이 관심을 보이면서 몸값이 올랐다는 게 업계의 후문이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PEF들이 과거에는 조 단위 이상 대형 딜에만 집중했지만 최근에는 투자집행이 중요한 만큼 1조원 안팎의 거래라도 성장성이나 시너지가 있다고 판단되면 적극적으로 들여다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 더 보기

    글로벌 PEF의 미들캡 공습…설 자리 좁아지는 토종 PEF

    n.news.naver.com

    글로벌 PEF의 미들캡 공습…설 자리 좁아지는 토종 PEF

    조회 360


    📺'뤼튼'의 이상한 광고, 만든 사람에게 직접 의도를 들어봤습니다

    ... 더 보기

    “이래도 되나?” – 뤼튼의 이상한 광고 만들기 – 제일 매거진

    magazine.cheil.com

    “이래도 되나?” – 뤼튼의 이상한 광고 만들기 – 제일 매거진

    미 육군 리더십센터는 리더십, 조직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세계 유수 연구기관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곳이다. 특히 불확실한 상황하에서의 의사결정, 위기 관리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미 육군 리더십센터의 연구성과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독성 리더십(Toxic Leadership)’에 관한 것이다.

    ... 더 보기

    `독성 리더십`은 어떤 것? 미군 내부조사 결과 보니 - 매일경제

    매일경제

    `독성 리더십`은 어떤 것? 미군 내부조사 결과 보니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