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바리 윤수영 대표님의 칼럼입니다. "뚫어내기 전까지는 제자리걸음을 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사람의 성장을 그래프로 그리면 계단 모양이 된다. 꾸준히 오르막길을 오를 수 있으면 제일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내 이야기는 아닌 듯싶다. 주변에서도 본 적은 없다. ⠀ 누구나 다음 단계로 올라서기 위해서는 그림(내가 그렸다)의 A단계를 버텨야 한다. 좌절하지 말고, 포기하지 말고, '존버'를 해야 한다. 그래야만 B단계에서의 희열을 맛볼 수 있다. ⠀ 그러면 다시 C단계가 찾아온다. 이 때 사람은 쉽게 조급해진다. 나는 이걸 '소년등과형 조급함'이라고 부른다. 소년등과형 조급함에 빠지면, B단계의 쾌감을 얼른 다시 느끼고 싶어서 자꾸 지름길을 찾는다. 그렇게 계단은 무너진다. ⠀ C단계에서의 조급함마저 이겨내고 다시 한 번의 성장을 경험하면, 마침내 한 사이클을 돈다. 그러면 '조급해하지 말고 성실하고 치열하게 존버하다 보면 짜릿한 성장을 맛볼 수 있다'라는 문장이 삶에 새겨진다. 이때부턴 비교적 쉽게 위기를 마주하고, 성장을 만들어내게 되는 것 같다. 사업을 하면서 경험했던 '성장형 인간'은 대부분 이 사이클을 한 번은 돌려본 사람들이었다." --- 전 이 계단식 성장이 성장의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끊임없이 타석에 서고..노력하면서 성장한다. 그렇기에 제일 중요한 것은 무너지지 말고 꾸준히 하는 것입니다.

성장은 계단 모양

포브스 코리아

성장은 계단 모양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2월 3일 오전 12:5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인성 없는 실력자를 대하는 마음가짐

    실력은 갖췄지만 인성이 나간 사람을 만났을 때는 내가 기준을 더 높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어차피 그 사람보다 실력이 더 좋은 사람은 반드시 있을 거다. 그렇다면 그 사람보다 더 잘하는 사람을 두고 인성 터진 사람을 비교당하는 위치에 두면 그 사람이 뭐라고 하든 별로 신경 안 쓰게 된다. 아무리 본인이 독한 말을 뱉어도 그 사람은 인성까지 갖추고 그 사람보다 더 잘하는 사람보다 못한 사람이다. 그냥 인성 터진 사람이지. 사실은 본인이 더 잘 알 거다. 실력은 부족한 인성에 대한 알리바이가 되지 않는다.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

    < 모든 시도는 둘 중 하나다. 성공하거나 배우거나 >

    1. 큰 수의 법칙. 시도가 많아질수록 결과는 평균에 수렴한다. 주사위를 많이 던질수록 각 숫자가 나오는 확률은 1/6에 가깝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