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폭력' 앞에 붙는 다른 단어가 폭력 자체의 폭력성과 심각성을 가벼이 여기게 만듭니다. '학교 폭력' 혹은 '학폭'도 마찬가지죠. 학교에서 벌어진 학생들 사이의 일이니까, '어린 사람들'의 일이니까 좀 가볍게 여기는 성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요즘의 폭로에는 피해자에 대한 비난도 이어지곤 합니다. 그 이상한 역전에 대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이렇게 씁니다. '철 모르는 시절' '잠시 방황했던 사춘기의 실수' 같은 말이야말로 위험하다고 말이죠.

학교 폭력을 용서해선 안 되는 4가지 이유

정신의학신문

학교 폭력을 용서해선 안 되는 4가지 이유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2월 27일 오전 3:3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요즘 Claude Code와 OpenAI Codex를 진짜로 말로만 코딩하는 실험을 주기적으로 하고 있는데, 어제 Claude Code와 Codex를 통해 꽤 복잡한 개발을 처음으로 성공했다.


    Claude로 만든 건 아주 기본 기능만 있는 코드에 알고리즘을 확장하고 테스트용 프론트엔드를 만드는 것. 한두줄 정도만 직접 수정을 했다.


    ... 더 보기

    살아있네

    

    ... 더 보기

    < 좋은 질문은 틀릴 수 있는 질문이에요 >

    1. 질문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이어야 하고, 그 대답은 ‘틀릴 수 있어야’ 합니다.

    ... 더 보기

    잘 되는 상품기획의 특징

    이 일을 하다 보면 브랜드 쪽에서 “잘 되는 상품은 뭔가요" 라는 질문을 하실 때가 있다. 아마 내가 여러 카테고리와 브랜드를 해봤기 때문에 주시는 질문일 것이다. 운이 좋게도 경험했던 조직들과 지금의 일이 상품기획자와 같이 붙어서 일을 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마케팅과 BM을 해오면서 느꼈던 잘 되는 상품들이 갖고 있던 조건들은 아래와 같았다. 단, 대략적인 제품 필요성 여부와 카테고리, 재구매성 여부를 어느정도 정해놨다는 가정하에.

    ... 더 보기


    《기다림이 허락되지 않는 시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