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가 이용자를 잡아두는 방식 > ◆ "24시간이 모자라" 사람들이 무언가를 읽고 소비할 수 있는 시간은 한정돼 있다. 기존에는 TV나 영화관이라는 꽤나 큰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통해 뉴스 영화 드라마 예능을 보았다면, 이제는 손바닥크기만한 모바일로 그 중심이 옮겨졌다. 네이버도 이용자들을 붙잡던 주요 콘텐츠 중 하나인 뉴스나 실급검 등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점차 서비스를 축소 및 변경했다. 그리고 텍스트가 아닌 사진, 영상, 이제는 메타버스로 사람들의 콘텐츠 소비 장소가 바뀌고 다양해지고 있다는 걸 이미 느꼈을거다. ◆ 나보다 잘하는 이들과 손잡기 이용자들을 네이버에 더 붙잡아두기 위해선 결국 콘텐츠가 중요한데, 자체 영상 콘텐츠가 약한 네이버tv의 입지를 고려한다면 OTT인 티빙과 협력하는게 현실적으로 가장 현명한 전략일 것.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해서 실패를 맛본적 있는 네이버는 (예전에 미투데이라는 트위터 같은 sns를 서비스했다가 실패를 맛보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적이 있다) 아마 이미 잘하는 업체와 손잡는게 더 빠르다고 생각했을 것.

네이버 - CJ `한국판 아마존 프라임` 신호탄

Naver

네이버 - CJ `한국판 아마존 프라임` 신호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3월 5일 오전 1:2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가장 위대한 창작은 ‘경계’에서 탄생한다 >

    1. 세상에 없던 새로운 건 모두 한 사람의 상상에서 시작된다. 그 결과인 창작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더 보기

    ⟪토스가 만든 리서치툴, TNS⟫

    ... 더 보기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toss.tech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 

    저장 3 • 조회 678


    < ‘나다움’을 잃는 순간, 모든 것을 잃는다 >

    1. 당신 자신을 믿어라. 결코 모방하지 마라. 매 순간 자기 재주를 내보여라. 평생에 걸쳐 쌓아온 누적된 힘을 보여줘라.

    ... 더 보기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미 육군 리더십센터는 리더십, 조직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세계 유수 연구기관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곳이다. 특히 불확실한 상황하에서의 의사결정, 위기 관리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미 육군 리더십센터의 연구성과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독성 리더십(Toxic Leadership)’에 관한 것이다.

    ... 더 보기

    `독성 리더십`은 어떤 것? 미군 내부조사 결과 보니 - 매일경제

    매일경제

    `독성 리더십`은 어떤 것? 미군 내부조사 결과 보니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