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특허문제에 대해서는 너무 강하게 특허를 보호해주는 것은 산업 전체적으로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21세기형 특허제도라고 하면 데이터 산업이라고 생각을 한다. 결과론적으로 몇몇 기술회사들이 계속해서 성장을 하는 이유는 이 데이터를 온전히 점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허나 데이터 규제가 더 완화 된다면 산업 전체적으로 도움이 되고 결과적으로 그 특허나 데이터를 소유한 사람들도 이득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소비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특히 데이터 분야의 경우에는 단순 광고산업뿐만이 아닌 유전학쪽에서도 이미 많이 화두가 되고 있다. 미래의 의료는 데이터와 무관하지 않다는 뜻이다. 계속 극단으로 치닫게 될 경우 빈부격차는 점점 더 가속화 될 수 밖에 없다.

Look how far precision medicine has come

MIT Technology Review

Look how far precision medicine has come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12월 1일 오전 2:0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 이제는 너무도 익숙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표현한 ‘영구적 위기(Permacrisis)’라는 단어가 있다. 2022년 영국 콜린스 사전에 등재된 단어다.

    ... 더 보기

    회사가 어려울수록 직원에게 투자해야 하는 이유[김광진의 경영 전략]

    magazine.hankyung.com

     회사가 어려울수록 직원에게 투자해야 하는 이유[김광진의 경영 전략]

    🎯 유튜브에 100번째 코딩 테스트 문제 풀이 영상을 올렸습니다!

    ... 더 보기

    달레의 코딩 테스트

    www.youtube.com

    달레의 코딩 테스트

     • 

    댓글 1 • 저장 27 • 조회 3,899


    [일터의 근육] 컬리 일잘러들의 공통점

    '

    ... 더 보기

    내 옆 일 잘하는 동료가 가진 것

    Brunch Story

    내 옆 일 잘하는 동료가 가진 것

    무기가 되는 일터의 질문들 (ft.마케터 숭 인터뷰)

    ... 더 보기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www.folin.co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