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규모 게임사가 대규모 게임사의 투자를 받아 게임 개발을 진행하는 대신 텀블벅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개발비를 유치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2. 게임 유통 측면에서 '스팀'이라는 간편하고 글로벌한 플랫폼이 생겨나면서 게임 유통이 간소화 3. 텀블벅을 통해 최소한의 개발비를 유치하는 데만 성공한다면 게임사는 외부의 압박을 받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게임 개발에 매진할 수 있고, 개발 완료 후 스팀에 출시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기 때문 4. 더불어 게임 유저 입장에서도 취향에 맞는 게임을 미리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게임 개발과정을 투명하게 지켜볼 수 있어 좋은 방법 5. 텀블벅 플랫폼 내에서 게임사들은 게임 개발 일정을 상세하게 공유하고, 게임 플레이 영상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곁들이기 때문에 유저 입장에서도 게임을 기다리는 과정에서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심층취재] 크라우드펀딩, '인디 게임 인큐베이터' 역할 톡톡...소규모 게임사에 '가뭄에 단비'

녹색경제신문

[심층취재] 크라우드펀딩, '인디 게임 인큐베이터' 역할 톡톡...소규모 게임사에 '가뭄에 단비'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4월 27일 오전 12:3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Continuous Discovery Habits> 번역 모음

    제가 지금까지 프로덕트 매니징 관련해서 읽었던 책과 아티클 중 가장 유용했던 자료예요. 특히 PMF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Discovery를 해야만 하는 스타트업의 Product Trio (PM, Product Designer, Software Engineer) 분들께 추천합니다. 작년에 회사 내 PM 챕터 스터디를 위해 조금씩 번역해두었는데요. 일부 내용을 요약/발췌해서 한 챕터씩?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번역이 완료된 챕터는 게시글 링크를 여기에 달아둘게요. 나중에 몰아서 보고 싶으신 분은 이 게시글을 저...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5 • 조회 2,392


    Replit 이용 후기

    최근 Repli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남겨봅니다.

    ... 더 보기

    테드(TED) 강의장에 황소가 등장했다. <생각의 공유> 저자 리오르 조레프는 청중에게 황소 무게를 예측해 보라고 제안한다. 그러자 140㎏에서 3t까지 다양한 오답이 쏟아졌다.

    ... 더 보기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v0.dev를 이용해서 바이브 코딩할때 활용할 수 있도록 PRD 프롬프트를 작성했습니다.

    ... 더 보기

    v0.dev PRD Generator (Pro Ver.)

    SuperPM

    v0.dev PRD Generator (Pro 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