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생산성을 올리는 법, 긱마인드💡] 오늘은 책 리뷰입니다. 저자 폴 에스티스는 20여년 간 델,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테크기업에서 일했습니다. 테크기업의 내부는 경쟁이 치열하지요. 저는 다음 문장에서 뼈를 맞았는데요, ✔ 하루에 8~9시간 일하지만 생산성은 형편없다. 무의미한 회의에 참석하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자료를 찾고, 지루한 정보 검색을 하면서 가까스로 하한선을 맞출 뿐이다. 어떻게 해야 그 틀을 깨고 성장할 수 있을까? 당신만 그런 게 아니다. 23p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긱마인드를 소개합니다. ✔ 나는 일명 T.I.D.E. 모델이라는, 새로운 업무방식을 위한 청사진을 구상했다. T.I.D.E.는 작업화, 식별, 위임, 진화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말이다. 52p 작업을 파악하고, 분류해서 프리렌서에게 맡길 수 있는 건 맡기고 한 싸이클을 돌렸으면 프로세스를 다시 다듬습니다. 이 때 중요한 건 각 단계 단계에서의 '전문가' 즉 '프리랜서'의 활용. 이를 고용구조의 변화로 해석할 수 있겠지만, 저는 '위임'을 관리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본다면 조직 내에도 충분히 끌고 들어올 수 있는 개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저자는 위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요령을 설파하는데요, ​1. 최종 목표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능력 2. 진척 상황을 판단할 수 이쓴 대조 표준과 이정표 설정 3. 보고와 점검을 위한 단순한 시스템 수립 4. 다른 무엇보다도 신뢰 136p 참 이상적인 보스 상 아닌지요. ✔문제는 사람을 찾는게 아니에요. 무엇이 필요한지한지 이해하는 것, '무엇'과 '누구'를 파악하는 것이 문제죠. 195p 요즘 재택으로 일하면서 문서화에 대한 높은 수준을 요구받는데, 맥락이 이어지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비동기화로 사람들을 잘 조직하고 움직이려면 일단은 일을 잘 구조화하고 식별해야합니다. 옆 사람을 못믿어 내려놓지 못해서 본인도, 팀도 힘들어지는 스타트업들이 여럿 떠오르는군요. 혹시, 일을 구조화하지 못해서는 아닌지?

긱 마인드

Naver

긱 마인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4월 28일 오후 11:2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최근에 발견한 신박한 뉴스레터 Top 4

    1. 롱라이프랩(LLNC) : 시니어 비즈니스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뉴스레터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 필요한 생각과 레퍼런스를 전해주는 뉴스레터입니다. 건축학 박사 과정 중인 분께서 운영하는 뉴스레터라서, 마치 논문처럼 꼼꼼하게 사례를 분석해

    ... 더 보기

     • 

    조회 424


    생각해볼 부분이 많은 chart

    우리는 이런 세상에 살고 있고, 이중 몇몇은 더 잘될것이고, 몇몇은 말이되는 multiple로 내려올것.


    < 잡초를 없애려면 잡초 말고 오히려 잔디를 깎아야 한다 >

    1.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일까?

    ... 더 보기


    < 왜 어떤 제품에만 '열광적인 팬'이 생길까요? >

    1

    ... 더 보기

    팀장님들, 질문 하나 드려보겠습니다! 오늘은 몇 개의 질문을 들으셨나요? 아마 매일 매일 한 100개 쯤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요ㅎㅎㅎㅎ

    ... 더 보기

    팀장상담소 21편 회사는 학교가 아닌데..! 팀원들이 스스로 해답을 찾지 않고 답만 묻네요 _ 팀장교육,팀장과정, 관리자교육

    네이버 블로그 | IGM세계경영연구원 블로그

    팀장상담소 21편 회사는 학교가 아닌데..! 팀원들이 스스로 해답을 찾지 않고 답만 묻네요 _ 팀장교육,팀장과정, 관리자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