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e's the hacking group reportedly responsible for the Colonial Pipeline shutdown
CNBC
“미 FBI, 송유관 #해킹 범죄단체 찾아내” FBI가 지난 주말 미국 최대 송유서비스기업 Colonial Pipeline 서버를 랜섬웨어로 공격한 주범으로 ‘DarkSide’라는 해커그룹을 지목했네요. 보스턴의 사이버보안회사 Cybereason에 의하면 다크사이드는 랜섬웨어를 통한 해킹 툴을 개발하고 홍보해 범죄자들에게 판매하는 비즈니스형 해커조직이라는군요. 다크사이드는 영리하게도 정치적 의도나 배후없이 또 사회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금전적인 수입을 얻기 위해 공공기관은 피하고 주로 영어권의 영리기업들을 골라 공격한답니다. 다크사이트는 해킹을 통해 얻은 수익을 여러 자선 단체들에 기부했지만, 몇몇 단체들은 이를 거부했다고 하네요. 한 해커그룹이 서버를 공격해 미국 최대 송유관 가동을 멈췄고 미국 동남부지역의 기름 공급망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 기름값마저 요동 친다고 하니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이 입게 됐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미국에서도 해커들의 활약상(?)이 이 정도인데, 실제로 (국가안보상, 기업의 신뢰 문제, 당한 지도 몰라서 등) 여러가지 이유로 공개하지 못하는 해킹사건까지, 아마 지금도 우리가 모르는 해킹사고가 끊이지 않을 것입니다. 편집자 본인이 방송의 긴급뉴스로, 또 메이저 언론에 대서특필 될 정도로 일본 역사상 최악의 해킹사건의 피해 당사자였기에,... 한마디로 해킹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테러’라 할 수 있습니다. 2000년 일본에 진출해 사이트 오픈 후 단 몇 개월만에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인터넷사이트가 됐지만 정치적 이유로 중국 해커들이 공격하는 바람에 수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피해를 입어 사회적 문제가 됐으며 당시 투자회사가 조기 상장을 준비할 정도로 ‘승승장구’ 하던 회사는 그 사건으로 일순간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국방, 금융, 전력, 항공, 교통, 상하수도, 연료 등 국가의 모든 인프라는 물론 암호화폐, 가상부동산, NFT 등 가상자산이 가치를 더 하는 이 시점에 ‘Security’ 문제는 국가안보 차원에서 다뤄져야 할 것입니다. 한국 정부가 그렇게 하고 있겠지만...
2021년 5월 11일 오전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