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블코믹스컴퍼니는 소설로 검증된 작품을 웹툰으로 만든다. 노블코믹스컴퍼니는 MD 역할로 작품을 검토하고 플랫폼을 통해 독자들에게 선보인다.” 독자에게 검증된 작품은 데이터를 통한 고객 반응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매출/열람수/열람횟수/댓글 작성자수 등 내부에서 판단하는 기준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IP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웹소설의 흥행이 중요하고 웹툰화가 잘 된다면 매출은 물론 인지도까지 더 큰 대박이 날 수 있다. MD는 콘텐츠를 독자에게 선보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순히 소개한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고객에게 더 매력적으로 다가갈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초기에 유입이 쉽도록 혜택을 준다거나 작품이 가진 소재로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며 홍보한다거나. 콘텐츠가 좋다면 고객 반응은 당연하지만 MD의 역할은 고객이 좀 더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자체만을 두면 100%의 고객이 들어온다면 MD는 작품의 외부요소를 다루며 120%의 고객이 들어올 수 있도록 기획하는 것. 그것이 MD가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IT싸를 만나다] 김미정·이소현 카카오엔터 이사 "'김비서' 흥행 뒤 숨겨진 피·땀·눈물, K콘텐트 성장 원동력이죠"

중앙일보

[IT싸를 만나다] 김미정·이소현 카카오엔터 이사 "'김비서' 흥행 뒤 숨겨진 피·땀·눈물, K콘텐트 성장 원동력이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18일 오전 11:5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우리가 음악에 중독되는 이유 (feat. 도파민) >

    1. 우리는 음악이 우리의 기대를 충족하고 우리의 기대를 위반 하는 방식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 더 보기

    《섬세한 사람》

    ... 더 보기

    디자인 컴포넌트 기반 AI 프로토타이핑

    A

    ... 더 보기

    - YouTube

    YouTube

     - YouTube

     • 

    저장 15 • 조회 824


    ⟪토스가 만든 리서치툴, TNS⟫

    ... 더 보기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toss.tech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 

    저장 3 • 조회 665


    《초여름》

    ... 더 보기

    📺'뤼튼'의 이상한 광고, 만든 사람에게 직접 의도를 들어봤습니다

    ... 더 보기

    “이래도 되나?” – 뤼튼의 이상한 광고 만들기 – 제일 매거진

    magazine.cheil.com

    “이래도 되나?” – 뤼튼의 이상한 광고 만들기 – 제일 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