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레이블이 뜨고 있다. 결국 AI, ML을 가능케 하는 것은 질좋은 데이터이다. 그리고 데이터가 쓸모가 있으려면 정리가 잘 되어 있어야 하고, 그 핵심이 레이블이다. 즉 이게 고양이인지 강아지 인지, 이게 사람인지, 사물인지. Edge case로 갈수록 결국 사람이 필요하다. 데이터 레이블링 비지니스는 앞으로도 점점 더 커질것이다. 이 new era of data에 우리는 한국은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Tech & BIZ] AI의 머신러닝, 알고보니 中·인도의 값싼 노동력 덕분

조선비즈

[Tech & BIZ] AI의 머신러닝, 알고보니 中·인도의 값싼 노동력 덕분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12월 23일 오후 5:4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아무튼 잘한 일》

    ... 더 보기

    🎯 유튜브에 100번째 코딩 테스트 문제 풀이 영상을 올렸습니다!

    ... 더 보기

    달레의 코딩 테스트

    www.youtube.com

    달레의 코딩 테스트

    < 초동 100만 장, 그런데 팬은 어디 있죠? - 엔터 테크와 데이터로

    1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8 • 조회 3,800


    OpenAI가 발표한 Codex의 핵심은 AI와 함께 진짜 팀으로 일하는 것 같은 경험을 준다는거네요.


    기존의 코딩 어시스턴트는 Agent라는 이름을 붙였어도 결국은 자동완성의 확장에 그치는 것이라, 즉, 나의 뇌를 확장하는 것이라 한계가 좀 명확했는데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