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카카오의 뉴스 알고리즘 분쟁 알고리즘 공개의 서막을 알리는 분위기다. 지난 3월, 한 탐사프로그램에서 보도가 나오며 논란이 시작되었다. 네이버, 카카오가 진보 성향의 기사를 읽은 사람에게도 보수, 중도 성향의 기사를 더 많이 추천한다는 의혹이었다. 하지만 양 사 측은 알고리즘은 정치 성향과 관련이 없고 사용자가 뉴스 보는 패턴을 바탕으로 추천해주는 고차원 방정식일 뿐이라고. 네이버에서는 알고리즘은 공개할 수 있지만, 대중이 아닌 전문위원을에게 공개하겠다는 입장을 뚜렷히 밝혔다. 대중에게 공개되면 부작용과 실효성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취지이다. 이러한 알고리즘 공개에 있어서 일반인에게도 공개해야할지, 뉴스 알고리즘 검토 위원회의 전문위원들에게 공개해야 할지 정치권, 정부, 시민단체 등과 업계의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알고리즘의 대중 공개는 데이터 관련 수준을 한 차례 높이는 계기가 될 수도 있고, 개발자의 편향성을 지향하고 투명성과 중립성을 지니게 될 초석을 다지는 시발점일 수도 있겠다.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국민일보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7일 오전 12:5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스로에게 너그러워지는 일, 감정 거리두기》

    ... 더 보기

    기업 대표들 중에는 “우리는 직원 교육을 할 여유가 없다.”라고 거리낌없이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이런 생각을 지닌 기업에는 눈에 띄는 인재가 모이기 어렵다. 그러니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 그렇다고 덜컥 큰 돈을 쓰라는 의미는 아니다. 투자한다는 것은 돈을 써서 외부 연수를 시킨다는 의미 말고도, 사내에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교육을 한다는 뜻도 있다.

    ... 더 보기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미래를 보는 신문 - 전자신문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인문 교양에 대한 취미를 닦아야 하는 마땅한 이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