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The Best Products Win Today
Medium
5⏎ - SaaS 모델이 강력한 이유 🔍 Typed Inside 광고성 마케팅과 관계 중심적 세일즈가 주 시장 진입 방식이었던 기존의 장기 라이센스 기반 소프트웨어 시장은 제품의 실질적인 효용과 사용자 경험보다는 기업의 판매 역량에 크게 의존했습니다. 물론 시대적 차이도 존재하지만 기존의 세일즈 방식은 이상적인 제품 개발 과정을 수립하기 어렵게 만들었죠. SaaS 모델이 등장하면서 제품 중심적, 바텀업 (bottom-up) 그로스로 시작해 충분한 고객 유입 후 탑다운 (top-down) 기업 판매를 추가하는 시장 진입 전략은 슬랙, 줌, 깃허브, 등 여러 최고의 제품이 탄생하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판매 기반의 시장 진입 및 세일즈 방법과는 달리 제품 중심적 SaaS 시장 진입 방법은 그 어느 때보다 사용자 니즈에 초점을 맞추고 있죠. ✅ 기존 소프트웨어 시장 진입 방법의 문제점 1. 높은 기회 비용 기업 대상의 세일즈가 가장 중요했던 시기이므로, 고객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게 아닌, 기업이 요구하는 필요 조건들을 맞추는데 집중. 특정 기업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판매, 교육, 그리고 유지하는데 오랜 시간과 리소스가 필요하며, 높은 기회 비용이 발생합니다. 2. 세일즈 주도적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주기 장기 라이센스 기반의 판매 모델은 짧은 주기의 유저 피드백을 반영할 수 없는 형태이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어쩔 수 없이 몇년에 한 번씩으로 제한하는 시스템이라 제품 개발 프로세스가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 SaaS 모델의 이점 1. 사용자 중심적 사고 장기 라이센스 모델과는 달리 사용자가 구독 취소를 쉽게 할 수 있는 SaaS 시장은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최적의 유저 경험을 전달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을 장려하는 시장 시스템입니다. 2. 유기적인 그로스 (growth) 비교적 낮은 진입 장벽과 개인 단위의 사용 및 결제가 가능한 SaaS 툴은 최적의 사용자 경험과 높은 효용을 제공할 수 있다면 유기적인 마케팅 (word-of-mouth) 및 그로스가 일어나기 쉬운 형태의 소프트웨어 모델입니다.
2021년 6월 11일 오전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