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CES에서 주목받는 분야인 '디지털 치료제'가 한국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회가 될 때마다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 찾아볼 계획입니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허가 임상에 돌입한 스타트업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네요. 주인공인 뉴냅스가 시리즈 A로 50억원을 유치했으면 규모도 상당합니다. 아무래도 바이오 분야의 특성 때문인 것 같습니다. 치료 목적은 '뇌 손상 후 시야장애 디지털 치료제'입니다. 허가 임상이 올해로 되어 있던데, 어떤 식으로 발표를 할지 궁금합니다. 기사로는 어떤 식으로 디지털 치료제를 사용하게 되는지 구체적으로 나와 있지 않습니다. 쉽게 말하면 AI 기술을 이용한 소프트웨어로 신경계 질환을 치료하려는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그림이 떠오르지 않습니다. 스마트폰 앱으로 출시가 될 것 같네요. 뉴냅스는 서울아산병원 울산의대 신경과 강동화 교수가 2017년 11월 설립했습니다. 뉴냅스는 기사에 나온 것처럼 AI, 앱, 게임 등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치료 효과를 만드는 것 같습니다. 뉴냅스가 론칭할 디지털 치료제의 이름은 '뉴냅 비전'입니다. HMD용 독립형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oftware as a Medical Device, SaMD)라고 하네요. 한국에서도 디지털 치료제 시장이 벌써 시리즈 A 투자 유치까지 가능해졌습니다. CES를 기점으로 관련 기사가 집중적으로 나오면 한국에서도 이 시장은 당분간 주목을 받을 것 같습니다. 계속 업데이트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첫 디지털치료제 임상' 뉴냅스, 시리즈A 50억 유치

바이오스펙테이터

'국내 첫 디지털치료제 임상' 뉴냅스, 시리즈A 50억 유치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5일 오후 11:2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2


    🎈2025 NYU REUNION DAY! 테헤란로 소진언니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