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바이럴의 4가지 메커니즘 1. 네트워크 효과: 제품을 쓰는 고객 간의 관계에서 가치가 창출되어 더 많은 고객이 제품을 쓸수록 고객이 받는 가치가 증가할 때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고객이 이런 제품의 작동 방식을 잘 이해하고 있을 때, 고객은 바이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 서비스 줌(Zoom)은 반드시 복수의 고객이 필요하기에 가장 먼저 줌을 쓰기로 마음먹은 고객이 다른 고객을 끌어들입니다. 2. 공유: 제품을 사용하여 만들어낸 결과물을 공개 혹은 다른 개인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품이 노출됩니다. 구글 폼(Google Forms), 타입폼(Typeform)과 같은 설문지 제작 서비스로 설문지를 생성하면 설문 참여자들은 어떤 제품으로 설문지를 만들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3. 인센티브 제공: 저번 글에서 FBM(포그 행동 모델)을 설명하며 어떤 행동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동기, 난이도, 계기가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바이럴도 똑같습니다. 적절한 인센티브는 바이럴을 위한 충분한 동기가 됩니다. 에어비앤비(Airbnb)는 지인을 호스트로 초대하면 일정 크레딧을 적립해주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습니다. 4. 입소문: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바이럴입니다. 사회화된 사람이라면 누구나 정보를 제공하고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하기에, 제품을 유용하게 사용한 고객은 주변 사람들에게 제품에 대해 소개할 겁니다.

제품 성장의 엔진, 제품 주도 성장 바이럴 전략 | 요즘IT

요즘IT

제품 성장의 엔진, 제품 주도 성장 바이럴 전략 | 요즘IT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3일 오후 2: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4 • 조회 1,349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07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