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캠벨, 구글의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 나는 개인이 아니라 팀을 회사의 근본적인 구성요소로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글 동료들은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갔다. 회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의 독특한 특성을 찾아내고자 연구했고, 여기에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프로젝트에서 도출된 다섯 가지 성공요인은 빌 캠벨의 메뉴얼을 보고 쓴 것 같았다. 구글에서 잘나가는 팀들은 심리적으로 ‘안전감’이 있다. 이런 팀에는 명확한 목표가 있고, 각각 의미있는 역할을 하며, 팀원들은 팀의 목표와 업무가 차이를 만들어낼 것이라는 자신감과 신뢰에 차 있었다. 빌은 자신이 코칭한 팀에 1️⃣ 심리적 안전감, 2️⃣목표의 명확성, 3️⃣ 업무의 의미, 4️⃣ 멤버들 간의 의존성, 그리고 5️⃣ 영향력을 구축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애덤 그랜트, 빌 캠벨, 실리콘밸리의 위대한 코치> * 심리적 안전감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지가 1년여 쯤 된 것 같아요. 기존 조직에서는 잘리지 않는 것, 급여를 꼬박꼬박 받는 것, 정년을 채우는 것이 전부였다면, 그런 것이 무의미한 시대에서는 심리적인 안전감이 많이 중요합니다. 정말 조직을 제대로 리딩하고 조직구성원의 진솔한 이야기를 듣고자 한다면 말이죠. * 혹, 나한테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이야기만 하던데 왜 우리 조직의 이상징후들이 자꾸 생겨나지? 왜 자꾸 같은 문제가 반복되지? 왜 다들 떠나가지? 라는 의문이 생긴다면, 그 조직에 심리적 안전감이 있는지 자문해봐야 합니다. * 어디 위아래도 없이 불만을 저렇게 당당히 표현하고 지적하는거야?! 아니 저 분은 왜 이렇게 답답하게 말을 이해못하고 옛날 사고방식인거지?! 라고 생각하신다면, 그게 여러분 개개인의 문제가 아닐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생각해보셔야 할 지도 모릅니다. 세대간 갈등이나 개인 성향의 차이로 치부하기엔, 우린 이미 너무 조직 안에서 살아가고 있어요. 조직이 가진 문화나 환경은 우리의 생각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4일 오전 12:0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기회

    

    ... 더 보기

    조회 518


    경험담)섣불리 판단하면 안되는 이유?


    주말에 한식 뷔페에서 식사하던 중,

    ... 더 보기

    앱 업데이트의 본질을 파헤치고, 기능 개선 인사이트를 찾아보는 모임

    ... 더 보기

    AIXperience 클럽 소개 | Notion

    update-log on Notion

    AIXperience 클럽 소개 | Notion

    이직의 조건

    

    ... 더 보기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네이버다움', 이렇게 찾았다고 합니다

    ... 더 보기

    NAVERfficial - "네이버다운 게 뭔데?" 물으신다면

    fficial.naver.com

    NAVERfficial - "네이버다운 게 뭔데?" 물으신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