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포토는 그동안 정말 무료였을까?🕵>
2017년 당시 구글의 발표에 따르면 구글포토 이용자는 10억 명이 넘었다. 빅데이터화한 약 900만 장의 사진 중 약 10만 장을 사람이 직접 검토해 수정하는 작업까지 거쳐 정확도를 높였다.
이 같은 AI 기술을 통해 구글은 “기업의 혁신을 돕고 의료와 보건 등과 관련한 인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료화는 어쩔 수 없다”는 구글 관계자의 말처럼 “매주 280억 개씩 업로드되는 파일을 보면서 학습한 셈”이다.
...
이런 ‘타깃 광고’의 귀재가 바로 구글이다. 구글은 앱과 웹사이트를 통해 우리가 좋아하는 것을 이미 많이 알고 있다. 더구나 ‘구글포토’에는 온갖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다. 관심사부터 결혼 여부, 가족 구성원 수, 주소, 자주 가는 곳, 자주 먹는 것, 만나는 사람 등 개인 정보의 온상이다. 이를 통해 소득이나 직업을 어느 정도 추정하기도 한다.
구글은 이렇게 수집한 정보를 모아 각각의 사용자를 겨냥한 타깃광고를 내보낸다. 그리고 광고료를 쓸어 담는다. 구글이 지난 수년간 무료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던 이유다.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