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갑질에 대한 처벌, 잘 이행되고 있을까? 스포츠계의 사례이긴 하지만 조직관리에 있어서 한번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많다. 잘못을 저지른 본인은 물론 소속된 구단, 관련 협회 모두 무책임하다는 생각과 동시에 이를 지켜보는 팬, 일반 국민들을 철저히 무시하는 행동이며 또 다른 잘못을 저지르게 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회사도 마찬가지다. 잘못을 저지른 경우에는 엄격하게 처벌 기준을 적용하고 이에 따른 벌을 주어야 한다. 만약, 그렇지 못한 경우 잘못에 대한 반성은 커녕 더 해도 된다는 인식을 심어줄게 뻔하다. 근데 이 점은 그나마 낫다. 문제는 피해자다. 피해를 당해서 고통받고 처벌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 더 고통받는다. 더 중요한 것은 피해 받지 않아도 될 다른 대상이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거다. 가해자는 그대로인데 피해자만 늘어가는 이상한 반복만 이뤄지지 않을까? 가해자의 인성을 바꿀 수 있는 교화를 하자는 것이 아니다. 사람은 안 바뀐다. 그래도 무엇이 잘못이고 그 잘못으로 인해 응당한 벌을 받아야 한다는 인식은 제발 좀 심어주자.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29일 오전 8:3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성공하는 사람은 '왜', 실패하는 사람은 '어떻게'를 묻는다 >

    1.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갖기 쉬운 프레임은 대개 하위 수준이다.

    ... 더 보기


    AI로 인해 영어는 이제 진짜 말하기만이 답 입니다. 그리고 말만 할 줄 알면 기회가 정말 크게 넓어질거구요.


    이제는 모두가 체감하고 있듯이 앞으로 영어로 읽기 쓰기는 큰 의미가 없어지겠지만, 말하기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거든요.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2,950


    한 번만 vs 한 번도

    

    ... 더 보기

     • 

    조회 693


    회사 경영진이 해결해야 할 '진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거나 전달하지 못해, 기술진·실무진이 잘못된 지표를 최적화하거나 가치가 낮은 영역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더 보기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cm.asiae.co.kr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대기업 상무 연봉 진짜 얼마인지 알려드립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