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이 간지러워 할만한 포인트를 알려주는 콘텐츠가 내 상세페이지에 있는가? 고객은 자신이 어떤 물건을 사야 할지 '정확히는' 모릅니다. 그래서 우리는 "고객님이 찾고 계신 건 그냥 여름 샌들이 아니라 '처음 신어도 뒤꿈치가 까지지 않는 여름 샌들'일 걸요?" 하고 알려 줘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고객이 어렴풋이 느꼈지만, 정확히는 몰랐던 불편함이나 욕망을 알려주는 콘텐츠가 상세페이지 초반부에 나와준다면 체류 시간과 구매 전환율 모두를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언어의 온도를 내 마음대로 정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언어의 온도는 이미 정해진 제품의 톤 앤 매너에 좌우될 때가 많거든요. '고급스러움 강조, 무채색 위주'라는 전체적인 제품의 톤 앤 매너는 이미 제품 기획 단계, 적어도 사진 촬영 단계에서 거의 잡혀 있습니다. 이때 디자인에 들어갈 텍스트나 카피, 설명글을 어떻게 쓸지도 대략적으로 정해지지요.  상세페이지 언어 또한 조금만 신경 쓴다면 누구나 알맞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상세페이지의 언어의 온도를 구현한다는 건  • 우리 브랜드의 컨셉을 • 타깃 고객들에게 쉽고 익숙한 단어, 말투, 문장을 사용해서 카피와 설명글을 만들어낸다는 거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 상세페이지뿐 아니라 모든 글을 쓸 때 생각해야 할 것들이다. 읽는 사람, 고객을 생각하는 글을 쓸 것! . #퍼블리뷰 #20일차

구매를 부르는 '언어'는 따로 있다! 상세페이지 언어의 온도

Publy

구매를 부르는 '언어'는 따로 있다! 상세페이지 언어의 온도

2021년 7월 8일 오전 10:2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