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미래의 최대 인터넷 기업은 교육 회사가 될 겁니다> 1. 우리는 보통 "현재가 미래를 만든다"고 하지만,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는 거꾸로 "미래가 현재를 만든다"고 주장한다. 2. 미래를 어떻게 바라보고, 준비하느냐에 따라 (지금) 우리의 삶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3. (특히) 토머스 프레이는 “향후 10년간 전 세계 대학의 절반가량이 사라질 것”이고 주장한다. 4. 그 이유는 일자리가 변하면 자연히 교육도 달라져야 하는데, 기존 대학들은 이 변화를 따라오기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 그의 주장은 이런 식이다. 5. 우리는 '초고용(super employment)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정규직은 점차 줄어들고, 2개월에서 짧게는 2시간까지 단기 고용해 일을 맡기는 '임시직(gig)'이 대세가 된다. 문제는 아무도 우리가 이런 변화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알려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6. 2030년에 경제 활동을 시작하는 사람은, 평생 8~10개 직업을 바꿔가며 일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매우 구체적인 기술 재교육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를 위해) 다시 대학으로 돌아가 2년간 공부해 새로 학위를 따는 건 말이 안 된다. 7. 대신 2주~2개월짜리 짧은 교육에 대한 수요가 크게 높아질 것이다. (그래서 대학 보다는) 그런 교육을 제공하는 '마이크로 대학(micro college)'이 대세가 된다. 8. (하지만) 정년을 보장받은 교수들이 포진한 기존 대학들은 방향을 돌리기 쉽지 않을 것이다. 대신 마이크로 대학을 많이 사들일 것으로 본다. 9. (게다가) 대학 학위가 '신분의 상징'이었던 시대는 끝났다. 명문대 학위 하나로 평생을 먹고살던 시대는 가고, 10. 끊임없는 재교육과 세세하게 개인 능력을 평가하는 '정량화된 자아(自我)'의 시대가 온다. (이를 대비하는 회사들이 살아남을 것이고, 미래 최대 인터넷 기업은 교육 기업이 될 것이다)

"앞으로 10년간 전세계 대학 절반 사라질 것"

n.news.naver.com

"앞으로 10년간 전세계 대학 절반 사라질 것"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20일 오전 12:4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20 • 조회 3,927


    이직의 조건

    

    ... 더 보기


    < 초동 100만 장, 그런데 팬은 어디 있죠? - 엔터 테크와 데이터로

    1

    ... 더 보기

    어제 출시된 따끈따끈한 ChatGPT Codex를 실제 프로젝트 레포에 써 보았습니다.


    테스트가 있으면 스스로 테스트도 실행하고, 만든거 스스로 실행해보면서 버그도 수정하고 하는게 기특하긴 합니다.


    ...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37 • 조회 3,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