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렁뚱땅_인턴일기 #40일차

💌나.. 지금 푸시랑 연애하는 걸까..? 💌 (좋은 뜻 아님)

나는 커리어리 제품팀 소속이지만 그로스팀의 일, 특히 crm 마케팅도 함께 하고 있다. 커리어리는 여러 crm 방법 중에서도 푸시 알림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데, 하루에 두 번씩, 출퇴근 시간에 맞춰 업계 동향/업무 팁 등 그때 그때 도움이 될 만한 글을 보내는 방식이다. 놓칠 수 있는 비즈니스 인사이트나 업계 뉴스를 푸시로 전송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푸시는 커리어리 이용자에게 또 다른 가치를 제공한다고 생각한다(단적으로 푸시 전송 여부가 DAU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그리고 그 푸시를 세팅하는 사람은 바로 나, 멋쟁이 인턴이지 😎(자랑 아님)(멋쟁이도 아님)

괄호에 적은 것처럼 진짜 자랑이 아닌게, 푸시 이 친구는 정말 연인 대하듯 조심하고 고민해서 다뤄야 한다. 왜냐하면, 일단 푸시 알림은 보내면 취소할 수 없다. 뭔가 실수가 있어도 만회 불가능..😨 정말 엎어진 물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또 한가지는, CTR(클릭율)이 바로 뜬다.. 그리고 이 CTR은 제목을 얼마나 후킹하게 적었는지, 얼마나 흥미로운 글을 골랐는지에 따라 많게는 10% 이상부터, 안나오면 2%대도... 뜨는데... 쪽지시험 보는 것 마냥 보내고 나면 CTR이 별로 높지 않게 나올까봐 조바심이 자꾸 난다. 잘 해보고 싶어서 카피라이팅 관련 공부도 해보고, 앰플리튜드 그래프도 보며 어떤 푸시를 보내야 반응이 좋을까 매일 고민해 보고 있지만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도 가끔 CTR 9%대가 넘어가면 또 그만큼 짜릿할 수가 없다 ❤️

그런데 요즘 푸시랑 권태기인가.. 비슷한 글을 보내도 예전만큼 클릭율이 좀 안나와서 매일 이런저런 고민을 하고 있다. 유명 드라마(슬의생)와 연관지은 리더십 이야기를 보내면 좋겠지😋했는데 오히려 그것보다 새로운 제품/기업을 소개하는 내용의 푸시가 더 좋은 반응을 얻고... 또 어떤 날은 마땅한 게시물이 없어 고민하는데 또 다른 날은 너무 보내고 싶은 두 가지 게시물을 가지고 한참 고민하게 되고... 그래서 커리어리 사용자 분들께 기회가 되면 어떤 내용을 푸시로 받아보고 싶으신지 여쭤보고 싶었다. 뭐가 좋을까요...? 자기계발? 기업 뉴스? 업무 팁? 푸시로 보내기 좋은 게시물이란 과연 뭘까요...?


다음 편: https://careerly.co.kr/comments/30037

인턴 일기 처음부터 보기: https://careerly.co.kr/comments/25749

김은서 / #얼렁뚱땅_인턴일기 #42일차 🤖 뚝딱뚝딱.. 로보트... | 커리어리

커리어리

김은서 / #얼렁뚱땅_인턴일기 #42일차 🤖 뚝딱뚝딱.. 로보트... | 커리어리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7월 30일 오전 11:51

댓글 73

함께 읽은 게시물

동기부여는 세수하듯해라...250710

1.●마인드를 바꾸는 순간 실행과 결과는 따라온다.
2.능력은 욕망과 함께 온다.

... 더 보기

< 잡초를 없애려면 잡초 말고 오히려 잔디를 깎아야 한다 >

1.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일까?

... 더 보기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 가장 예쁜 사람이 아니라, 1등 할 사람에게 투표하라 >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