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님의 프로필 사진

h

.

#퍼블리매일읽기챌린지 #퍼블리뷰 #퍼블리뷰4일차 1. 문과생도 구글이나 스마트폰 없이는 못 사는 세상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IT 기술에 둘러싸여 있음 2. 구글 검색은 어떻게 작동할까? 구글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30조 개가 넘는 웹페이지를 뒤져서 가장 좋은 결과물을 10개로 추림 -> 데이터베이스에 각 웹페이지 정보를 저장해두고 알고리즘을 이용해 무엇을 보여줄지 정함 알고리즘 = 일련의 명령어 ex) 인간: 치즈샌드위치를 만드는 알고리즘 구글: 검색어에 맞는 웹페이지를 찾는 알고리즘 구글의 알고리즘은 인터넷 상의 모든 웹페이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시작 -> '스파이더(Spider)'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웹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 , 크롤링은 인터넷에 있는 모든 웹페이지를 찾을 때까지 지속 스파이더는 일단 몇 개의 웹페이지를 크롤링해 '색인'이라고 부르는 웹페이지 목록에 추가 -> 외부 링크를 따라가 또 새로운 웹페이지를 색인에 추가 -> 더는 새로운 웹페이지를 찾을 수 없을 때까지 이 과정 반복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구글은 색인을 샅샅이 뒤져 연관성이 큰 웹페이지를 찾음 -> 원리: 특정한 키워드의 출현 빈도 확인 (출현 빈도 = 키워드 밀도) 구글은 키워드 밀도 대신 페이지랭크(PageRank)라는 혁신적인 알고리즘 사용 -> 웹페이지의 점수를 계산할 때 해당 웹페이지를 링크한 다른 모든 웹페이지의 페이지랭크 점수를 집계 (선형대수학 이용) 페이지랭크에서 중요시되는 것 : 링크의 질 구글은 색인에서 검색어가 언급된 웹페이지를 모두 찾은 후 페이지랭크 외에도 여러 가지 기준으로 순위를 매김 ex) 웹페이지의 최근 업데이트 시점 확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반영 페이지랭크 허점 : 링크팜(link farm) = 서로 연관 없는 링크를 잔뜩 넣은 웹페이지 생성 <->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엔진 최적화 : 웹페이지를 검색 결과 최상위에 올리기 위해 구글 검색 알고리즘 역이용 SEO의 기본은 자신의 웹페이지를 링크한 웹페이지를 늘리는 것 + 웹페이지의 제목과 본문에 적절한 키워드 넣고 동일한 웹사이트 내 모든 웹페이지가 서로 링크를 걸게 하는 등 여러가지 기법 동원 하지만 구글은 수시로 검색 알고리즘을 수정 3. 무료 앱 페이스북이 떼돈을 버는 비결은 뭘까? => '타깃광고' 광고료를 청구하는 방식 1) 노출당 과금(Pay-Per-Impression, PPl) : 사용자가 광고를 볼 때마다 소액의 광고료 청구, = 밀리당 과금(Cost-Per-Mille, CPM) 2)클릭당 과금(Cost-Per-Click, CPC) :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광고료 청구, = PPC(Pay-Per-Click) 구글, 페이스북은 PPl과 CPC 모두 사용 : 광고주가 구글 검색 결과나 페이스북 뉴스피드 같은 곳에 광고를 내려면 클릭당 혹은 노출당 얼마를 낼 의향이 있는지 '입찰가' 제시 ->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접속할 때마다 모든 광고주 대상으로 즉석 '경매' -> 낙찰자 광고 표시 항상 최고가 입찰자가 승리하지는 X 구글, 페이스북은 광고의 연광성 같은 몇 가지 기준 함께 고려 -> 광고의 연관성이 클수록 클릭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져 입찰가만 높고 연관성 적은 광고보다 많은 돈 벌 수 있음 구글과 페이스북은 다른 어떤 업체보다도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많이 가지고 있음 그렇기에 타깃광고의 적중률 최고, 광고료도 최고 많이 받음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두 기업의 점유율 : 50% 정도 하지만 미국 3위 광고 플랫폼으로 등극한 '아마존' 아마존은 판매 상품 목록에 바로 광고 표시 -> 이미 물건을 사기로 작정한 사람들에게 광고를 보여주는 것 = '직접반응 광고' (구매로 직접 이어지는 광고) 구글, 페이스북, 광고로 돈을 버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기업은 광고주에게 사용자 데이터 판매 X 광고주가 광고를 제출하면 구글과 페이스북은 사용자 데이터를 토대로 누구에게 어떤 광고를 보여줄지 결정 하지만 최근 페이스북은 사용자 몰래 사용자 데이터 유출로 맹비난 -> 휴대폰에서 좋은 위치를 받는 대가로 애플, 삼성 같은 제조사에 사용자 데이터 넘김, 친구 추천 기능 강화 위해 아마존과 쌍방의 데이터 공유 4. 뉴스 사이트에는 왜 그렇게 '협찬기사'가 많을까? 웹에서는 배너광고가 여전히 많이 쓰이지만 인기 있는 앱은 배너광고를 안 쓰는 추세 배너광고보다 덜 거슬리고 쉽게 무시할 수 없는 광고 :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 = 협찬콘텐츠 (일반적인 콘텐츠와 이질감 없게 제작) 협찬콘텐츠는 특히 언론계에서 급성장 ex) <뉴욕 타임스>에서 기존 교도소 시스템이 여성 수감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이유를 보도한 적 있음. 심층 취재 바탕으로 작성된 흥미로운 기사였지만 실체는 넷플릭스 드라마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광고였음 협찬콘텐츠는 클릭률이 배너광고의 2배 수준이라 광고주에 유리 하지만 사실과 광고를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위험 5. 안드로이드폰에 쓸데없는 앱들이 왕창 깔려 있는 이유는? 안드로이드폰 이미 잔뜩 깔려 있는 원치 않는 앱 = '선탑재 앱' / 사용자들은 반감을 담아 '블로트웨어(bloatware : 부푼 풍선처럼 저장공간와 메모리를 차지하는 소프트웨어)'라고 부름 웬만한 사람은 다 스마트폰이 있고 데이터 요금제에 가입되어 있으니 폰과 요금제 파는 것만으로는 수익 올릴 수 없음 -> 새로운 수익 창출을 모색한 결과: 블로트웨어 장사 기업이 블로트웨어로 돈 버는 방법 1) 앱 개발자로부터 돈을 받고 해당 앱을 선탑재 2) 통신사와 제조사가 유명한 무료 앱의 짝퉁인 자사 앱(대부분 유료)를 선탑재 통신사와 제조사가 이런 앱을 선탑재하는 이유 => 쉽게 돈 벌기 가능 ex) 삼성: 자체 앱스토어에서 판매되는 앱, 테마에서 수수료 하지만 블로트웨어에 대한 사용자의 거센 저항 -> 블로트웨어 거의 안 씀, 앱스토어에서 블로트웨어에 낮은 점수 줌, 블로트웨어에 찌든 폰 자체를 거부하는 사태 발생할 수도

문과라서 잘 모른다고? 실생활에 필요한 IT 지식 다이제스트

Publy

문과라서 잘 모른다고? 실생활에 필요한 IT 지식 다이제스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8월 26일 오전 8:2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