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에서 서비스별 결정적인 순간은 언제일지 찾는게 중요하다. 이해관계자들이 부딪히는 곳, 내부고객도 마찬가지로 조직내에서도 접점이 있다. 고객 관점, 경험, 입장에 서서 시스템을 바라보고 관리해야 한다. 각 프로세스에 하나의 Task에서 찾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겠지만, 먼저 우리는 고객이 원하는것을 알고 있는가? 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는가? 제공하고 있다면, 제대로 제공하고 있느가? 제공하지 않다면 우리는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줄것인지 아닌지를 고객은 원한다. 고객 스스로도 문제가 무엇인지 모르는 상태가 태반이다. 그동안의 업무 프로세스가 맞는지, 그냥 하던대로 하는게 편한데, 비용이나 시간등이 많이 들어간들 무슨상관인가? 일을 함에 있어 고질적인 문제가 있어도, 모른체로 넘어가는 것이 무척이나 많을것이다. 무엇을 물어야 할지 모르는 고객을 위해 우리는 고객 관점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해줄수 있을 것이다. 여타 서비스들이 노려야 할 것들은, 그러한 고객의 숨겨진 니즈를 찾는것이 그 핵심이라 할수 있겠다. 아마존은 고객과 함께 시작하고, 고객이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이를 전하는 방법을 찾는다고 한다. 내심 옳다고 느껴왔던 것들, 갑작스럽게 인식시키면 그또한 혼란을 줄수 있으니, 그 진입의 경중도 중요하다. 그러한 이정표 적인 효과를 줄수 있도록 서비스를 유도해야 한다 할수 있겠다. 물론, 이 모든 프로세스가 목표를 향해 갈때, 그 결승점은 하나가 아니라는 점을 꼭 인지해야 한다. 돌아가야 하는 프로세스, 직진해야 하는 프로세스 등 그 중간중간의 이정표를 설계하고 그 과정을 하나하나 극복해 고객와의 시너지와 함께 에너지를 얻어서 마지막 결승점까지 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것이다. 이 모든 것에서 사업을 기획하거나, 전략을 짜는 사람들은 플랜 B를 항상 생각 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할수 있겠다. 계획의 변수를 생각하고, 목표 달성에 스스로도 유익한 행동을 취하는 것이 그 순간에 어떤 행동을 할지 미리 알고 대응할수 있을텐데, 아직 나조차도 어려운 부분이다. 프로젝트에 플랜을 여러가지 짜기가 쉬운가? 연습만이 나에게 그 걸 줄것이라 생각하며.... 이번 한주도 힘내보자..^^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9월 5일 오후 11:0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922


    < ‘나다움’을 잃는 순간, 모든 것을 잃는다 >

    1. 당신 자신을 믿어라. 결코 모방하지 마라. 매 순간 자기 재주를 내보여라. 평생에 걸쳐 쌓아온 누적된 힘을 보여줘라.

    ... 더 보기

    《초여름》

    ... 더 보기

    소프트웨어 공학 스킬과 개념 빨리 익히는 법

    배울 건 많고, 시간은 없는데 개념 익히고 내 것으로 완전히 만드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빨리 배울 수 있는 팁 없을까요? 스킬과 개념 빨리 익히는 팁 알려주는 영상이 있어서 정리해서 올려요. 1️⃣ 다양한 기술 접해보기 프런트엔드라면 프런트엔드의 다양한 프레임워크에 관해서 배운다. 여기서 ‘다양한’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따지고 보면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배우는 건 ‘프론트엔드‘라는 같은 영역에서 비슷한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 계속 성장하려면 이렇게 한 영역에 집중한 기술보다 다양한 영역의 기술을... 더 보기

    How I learn new skills & software engineering concepts fast

    YouTube

    How I learn new skills & software engineering concepts fast

     • 

    저장 93 • 조회 5,716


    동고동락 팀워크

    

    ... 더 보기

    < 왜 어떤 제품에만 '열광적인 팬'이 생길까요?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