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개월 만들어서 유저 10명 만들면 폴 그래햄한테 칭찬 받는다.> '애자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들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처음부터 완벽한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작동하는 최소한의 제품(MVP)를 만들고 이를 점차 고도화시켜나갸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죠. 그런데 이 MVP의 퀄리티가 어느 정도까지 올라가야하냐, 속도를 위해 어디까지 포기해야하냐가 항상 어려운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재밌는 글이 있어서 가져와보았습니다. MVP를 핑계로 퀄리티가 낮은 제품을 출시하는 것은 진짜 린스타트업이 아니라는 내용인데요. 그냥 '최소한의 제품'이 아니라 '해결되어야 할 문제를 명확하게 해결하는 최소한의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문장이 와닿았습니다. 그저 빨리빨리가 아니라, 제품을 사랑해줄 '팬'을 만들 수 있을만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는 걸 항상 기억해야겠습니다. ---------------------------- - 린스타트업을 오해하면 '속도'라는 이름하에 퀄리티를 절충하는 것이된다. 진짜 린스타트업은 어떤 특정 JTBD (Jobs to be Done)를 "명확하게" 해결하는 최소한의 제품을 만드는 것이지, 최소한의 제품을 빠르게 만드는 것이 아니다. - "바보야, 문제는 사용자 수가 아니라 인게이지먼트야." 유저가 몇 명이든 아무래도 상관없다. 다 나중에 해결할 문제다. 가장 먼저 달성해야 할 목표는 리텐션과 인게이지먼트다. 실력 있는 창업자, 실력 있는 투자자는 이 사실을 누구보다도 더 잘 이해한다.

18개월 만들어서 유저 10명 만들면 폴 그래햄한테 칭찬 받는다.

Craft

18개월 만들어서 유저 10명 만들면 폴 그래햄한테 칭찬 받는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9월 11일 오후 3:4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더 깊고 매끄러운 사회적 교류》

    ... 더 보기

    《관심은 가장 순수한 형태의 관대함이다》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529


    《기다림이 말해주는 것에 대하여》

    ... 더 보기

    《기다림이 허락되지 않는 시대》

    ... 더 보기

    쉬운 길

    

    ... 더 보기

    요즘 Claude Code와 OpenAI Codex를 진짜로 말로만 코딩하는 실험을 주기적으로 하고 있는데, 어제 Claude Code와 Codex를 통해 꽤 복잡한 개발을 처음으로 성공했다.


    Claude로 만든 건 아주 기본 기능만 있는 코드에 알고리즘을 확장하고 테스트용 프론트엔드를 만드는 것. 한두줄 정도만 직접 수정을 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