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플랫폼을 제공하는 정부의 역할, GaaP (Government as a Platform)> 혹시 GaaP라는 용어에 대해서 익숙하신가요? 최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정부로 부터 일어나야 더욱 더 큰 영향력을 만들 수 있다는 취지에서 생겨나고 매일 매일 더 많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2022년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된 이 시점에 GaaP에 대해 논의해 보는 것은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GaaP에 대한 등장 배경과 개념을 정리하고 디지털 정부의 해외 사례로 가장 앞서 있다는 영국 및 다른 국가의 현황을 살표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플랫폼으로서의 정부(GaaP: Government as a Platform)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메타버스 등 시대를 관통하고 있는 IT 키워드가 정부 시스템과 만나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졌을 때의 모습을 규정짓는 용어로 GaaP을 떠올리기도 한다. 국가의 중장기 비전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전환 시대의 정부의 역할을 GaaP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글을 쓰신 윤대균 교수님의 탁월한 식견으로 풀어내는 의견입니다. 많은 분들이 꼭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디지털서비스마켓 씨앗

Ceart

디지털서비스마켓 씨앗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9월 19일 오전 7:3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Replit 이용 후기

    최근 Repli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남겨봅니다.

    ... 더 보기

    v0.dev를 이용해서 바이브 코딩할때 활용할 수 있도록 PRD 프롬프트를 작성했습니다.

    ... 더 보기

    v0.dev PRD Generator (Pro Ver.)

    SuperPM

    v0.dev PRD Generator (Pro Ver.)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6 • 조회 4,076


    🌓 <Continuous Discovery Habits> 번역 모음

    제가 지금까지 프로덕트 매니징 관련해서 읽었던 책과 아티클 중 가장 유용했던 자료예요. 특히 PMF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Discovery를 해야만 하는 스타트업의 Product Trio (PM, Product Designer, Software Engineer) 분들께 추천합니다. 작년에 회사 내 PM 챕터 스터디를 위해 조금씩 번역해두었는데요. 일부 내용을 요약/발췌해서 한 챕터씩?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번역이 완료된 챕터는 게시글 링크를 여기에 달아둘게요. 나중에 몰아서 보고 싶으신 분은 이 게시글을 저...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5 • 조회 2,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