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마음을 사로잡는 CRM 성공전략] VOC 관리, 선택 아닌 필수
이코노믹리뷰
[고객 VOC를 어떻게 생각하고 관리하시나요?] 사람 간의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선 ‘대화’가 필요합니다. 심지어 연인 관계에서도 말을 해야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현하고, 그 표현에 진지하게 귀 기울일 줄 알아야 관계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기업과 고객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 기업이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채널과 방법은 많지만 그중에서 단연은 VOC(Voice Of Customer)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기업이 ‘고객 중심’이라는 가치를 중요시하고,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관련 근거로 삼는 것은 VOC 입니다. 그만큼 VOC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고, 이런 VOC를 응대하는 방법도 고도화 되고 있는데요, - 어떤 VOC는 에스컬레이션 해서 즉시 처리 - 어떤 VOC는 취합하여 주별로 리포팅하여 전사 차원 공유 - 어떤 VOC는 인사이트를 도출하여 유관부서 공유 등 기업마다 VOC를 어떻게 나누고, 얼마 만에 공유하며, 어떻게 처리하는지 그 방법이 다를 겁니다. VOC를 구별하는 정해진 답은 없습니다만 저는 보통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운영정책을 수립합니다. - [정량적] 1. 데일리로 유입된 문의 건수 2. 주별로 유입된 유사한 문의 건수 *포인트는 고객 의견을 수치화 할 수 있는 데이터로 분류해 활용 가능하도록 가공한다는 것입니다. - [정성적] 1. 문의한 소비자의 감정 상태 - 비록 1건밖에 유입되지 않더라도 소비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민원성 클레임으로까지 변질될 우려가 있음 *포인트는 긍/부정 감정의 정도까지 세세하게 고려해 분류 작업을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 [그리고 리포팅한 VOC가 개선될 수 있도록 방해 되는 요소(상황)에 대한 지속 팔로우업 및 리마인딩] - 저는 서비스도 PLC 곡선에 따른 수명 주기 이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서비스가 지속 성장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고객과 함께 꾸준히 나아갈 방향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요? 여러분의 VOC는 어떻게 관리(처리)되고 있나요?
2021년 10월 11일 오후 12:25
Voc에 대한 접근이 굉장히 신선한거 같아요!! 실례가 안된다면 어떤 포지션으로 재직중이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ㅎㅎ
안녕하세요 :) 최상위 고객경험을 위한 기획과 대고객 운영정책을 주 업무로 담당하고 있습니다. 스스로 운영기획자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글 잘 읽었습니다 :) 개인적으로 voc 관리에 관심이 있는데 ader 님은 별다른 도구 없이 구글 시트로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D 기업마다 문의 통계를 관리하고 모니터링 하는 툴이 달라서 통계 수치는 각각의 솔루션으로 합니다(솔루션 없이 자사 백오피스를 쓰는 곳도 있더라구요) 그래도 리포트는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작성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답글 달아주신걸 지금 알아서 감사 인사가 늦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