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곧 도래할 대학의 미래> 1. 스탠포드대학은 대학에서 배운 전공지식들이 불과 몇 년 지나지 않아서 무용지물이 되고, 2015년 전후하여 졸업한 동문들을 조사해 보니 졸업생의 4분의 1만이 자신의 전공 분야에서 일하고, 한 직장에서 근무하는 기간도 짧아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2. 참고로 미국 노동통계국 자료에 의하면 한 직장에서 근무하는 기간은 평균 4.4년으로 조사됐으며, 평생직장 개념이 점점 퇴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이에 따라 스탠포드대학은 혁신적인 교육 플랫폼인 ‘Stanford 2025’을 통해 학위 취득 형식의 교육이 아닌 졸업생과 재학생의 경계 없이 루프처럼 교육을 재경험하고, 개인화된 학습 단계에 맞는 적응적인 학습을 반영하며, 학과 중심이 아닌 역량 중심의 커리큘럼 도입과 동기부여 중심의 교육을 통한 역량 향상 등을 미래 대학의 모습으로 제시하고 있다. (지식이나 정보 중심이 아니라 개인 중심, 역량 중심, 동기부여 중심의 커리큘럼) 4. 프랑스의 ‘에꼴42’ 시스템도 눈여겨볼 만하다. 비학위과정인 에꼴42는 강사·교과서·학비 없이 운영되고 있고 교육생들이 다양한 교육 커리큘럼들을 직접 선택하고, 주어진 미션을 풀기 위해 MOOC 학습 및 동료와의 협업 등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는 수업방식을 취하고 있다. 5. (에꼴 42는) 검증된 교육방식과 교육과정을 통해 스스로 문제해결 능력을 터득한 인재들은 성공적으로 창업을 하거나, 글로벌 IT 기업에 쉽게 취업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동료들과 협업할 줄 알게 되면 어느 나라, 어떤 기업에서도 경쟁력 있는 인재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봉규 교수의 데이터 세상] 코로나19가 불러온 비대면 온라인 교육

n.news.naver.com

[이봉규 교수의 데이터 세상] 코로나19가 불러온 비대면 온라인 교육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10일 오전 2:0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포트폴리오 쇼케이스 리뷰

    

    ... 더 보기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디자인의 역할은 프로세스에서 낭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

    ... 더 보기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www.designdb.com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894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31 • 조회 3,580


    무너지고 있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직군의 경계에 대한 고찰

    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4,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