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스타트업에서 계속 일하는 이유> 1. 회사를 세우고 사업 계획을 짤 때 어떤 직원과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를 생각해보듯이, 파괴적 혁신가의 여정에도 외부의 도움이 필요하다. 2. 나에게 어떤 훈련과 멘토, 자본이 필요할까? 경쟁 제품을 연구할 때 하는 것처럼, 업계 다른 사람들을 조사해보고 그들은 성공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어떻게 구했는지 알아내라. 3. 그러다 보면 세상은 내 목표 달성을 도와주려고 기다리는 사람들로 차고 넘치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4. 지금 하고 있는 일과 장소도 자원이 될 수 있다. 스타트업에서 자신의 한계를 끝까지 밀어붙이며 시험해본다면, 스스로도 몰랐던 장점이나 능력을 발견하게 될 수도 있다. 또는 반대로, 나에게 더 필요한 훈련이나 경험이 무엇인지도 분명해질 것이다. - 제이 새밋, <부의 추월이 일어나는 파괴적 혁신> 중

부의 추월이 일어나는 파괴적 혁신

예스24

부의 추월이 일어나는 파괴적 혁신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12일 오전 1:0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7 • 조회 1,386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 더 보기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