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근무에 대한 기업 인사담당자 설문결과를 보던 중 깜짝 놀랐어요. “우리 회사에서 사용 중인 협업/생산성 툴”을 묻는 질문에 30%가 ‘카카오톡’이라고 답했습니다. 이 결과를 보니 “원격근무에 대해 우려하는 점”에 대한 질문에 “업무 효율/생산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답한 것도 이해가 가요. 카카오톡으로 일하면 당연히 효율이 낮아지고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친구랑 대화하라고 만든 제품으로 업무를 하려다 보니 필연적인 결과입니다. 카카오톡을 왜 업무에 사용하게 됐을까요?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그랬을 거예요. 슬랙, 잔디 등을 바로 도입하기에는 기업에서 준비가 안 되었겠죠. 카카오톡 쓰면서 생산성 저하를 감수하기보다 이미 갖춰진 인프라, ‘이메일’을 활용해 보세요. 우리는 이미 오랫동안 이메일로 멀리 떨어진 사람들과도 협업을 해 왔어요. 정말 시급하게 소통이 필요할 때만 제한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대부분의 소통은 ‘조직의 기록으로도 남는’ 업무용 이메일을 활용하세요. 조직 입장에서는 당장 어떤 동료가 연락이 안 되는 것보다 업무를 하는 과정과 결과가 공식적인 기록으로 남지 않는 게 더 큰 문제일 텐데, 그렇게 생각하면 카카오톡을 줄이고 이메일을 늘려야 하는 이유가 명백합니다. 다들 당황하지 말고 정말 중요한 게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중요한 ‘이메일’ 잘 쓰는 법을 함께 학습할 수 있는 트레바리 클럽 <이메일의 반격> 모집이 1주일 밖에 남지 않았어요. 관심있는 분들 신청해주세요. https://trevari.co.kr/clubs/show?clubID=c2a6ec88-cbdd-4c3c-bb20-36c23a059176

[설문 결과 알리미] 코로나19, 유연근무제, 리모트 인식 등 (2020.03.10)

원재의 Notion on Notion

[설문 결과 알리미] 코로나19, 유연근무제, 리모트 인식 등 (2020.03.10)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12일 오전 7:3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무너지고 있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직군의 경계에 대한 고찰

    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4,241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22 • 조회 4,019


    🍚한촌설렁탕의 파격적인 도전은 성공할 수 있을까요?

    ... 더 보기

    외식 온라인몰의 비밀: 한촌설렁탕엔 있고 더본코리아엔 없는 것

    더스쿠프

    외식 온라인몰의 비밀: 한촌설렁탕엔 있고 더본코리아엔 없는 것

     • 

    저장 1 • 조회 290


    두 가지 목표가 있다. 어떤 목표가 학습 동기를 높인다고 생각하는가?

    ... 더 보기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

    ㅍㅍㅅㅅ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

    데이터 작업용 Cursor 에디터 - Nao

    d

    ... 더 보기

    Nao - 데이터를 위한 Cursor | GeekNews

    GeekNews

    Nao - 데이터를 위한 Cursor | GeekNews

    이직의 조건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