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문제 vs. 복합적인 문제》 ◼︎ 비슷한 말처럼 들릴 수 있지만, 두 문제는 성격이 완전히 다릅니다. 일을 하면서 '풀리는 일이 없다'거나 '내 뜻대로 일이 안 된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면 엄청난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 책입니다. ◼︎ 복합적인 문제는 여러가지 요소가 엮어서 풀기 어려운 난해한 문제예요. 에어비앤비의 검색 알고리즘은 여러가지 내가 모르는 요소로 짜여져 있어서 단번에 알기가 어렵죠. 하지만 검색을 많이 해 본 사람이나 알고리즘을 짠 프로그래머라면, 어떻게 해야 에어비앤비 메인에 내 숙소가 나올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건 복합적인 문제예요. 몰라서 어렵지만 알면 답은 뻔한 문제란 뜻이죠. ◼︎ 복잡한 문제는 예상할 수 없는 요소가 많아서 정답 자체가 없는 문제예요. 에어비앤비가 어떻게 숙박 시장에 영향을 줄 것인가는 이 분야에 수십년을 있었던 사람이라도 답을 낼 수가 없어요. 추측한 것이 맞을 수는 있지만, 그 확률은 낮고 또 지속적이지도 않죠. 이건 복잡한 문제예요. 알 수가 없고, 그저 대비할 수 있을 뿐이죠. ◼︎ 팬데믹 이후, 많은 기업이 힘들어 하는 이유는 '복잡한 문제'를 '복합적인 문제'를 풀던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해서입니다. 전문가를 데려와서 완벽한 지식으로 앞으로는 대비하려 하고, 과거를 한올한올 분석해서 법칙을 알아내려고 하죠. 인재의 조건을 수십 개의 체크리스트로 만들어서는 거기에 맞는 사람을 골라냅니다. 하지만 그렇게 채용한 직원의 절반 이상은 1년도 안 돼서 퇴사하고 나머지도 조직 안에서 별다른 가치를 만들어 내지 못하죠. 수많은 서프라이즈가 관여하는 복잡한 문제를 원칙과 규칙으로 풀려고 하면, 이렇게 되는 일이 없습니다. ◼︎ 복잡한 문제와 복합적인 문제를 제대로 풀기 위해, 이 책에서 주는 4가지의 가이드라인은 한번쯤 생각해 볼 만 합니다. (1) 문제가 어떤 유형인지 파악하세요 - Complicated problem 인지, Complex Problem 인지. (2) 해결 대신 관리를 선택하세요 - 복잡한 문제는 해결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결책을 만들려고 쓰는 시간과 노력은 모두 허사가 됩니다. 길이를 저울로 재려는 노력을 일이라고 착각하지 말아야겠죠. (3) 시도하고, 학습하고, 적응하는 전략을 사용해 보세요 - 열심히 준비한 것이 성공하지 못할 수 있다는 걸 인정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불완전한 상황에서 시도하고, 배우고, 적응하는 겸손과 위험감수 능력은 성공을 위해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4) 복잡성에 기반한 사고방식을 개발하세요 - 복잡한 상황에서는 우리가 관리할 수 있는 것에 제한이 있음을 받아들이고, 지식의 소유를 넘어 지식을 연결하여 없던 것을 창조하려는 시도를 해보는 겁니다!

The Critical Difference Between Complex and Complicated

MIT Sloan Management Review

  The Critical Difference Between Complex and Complicated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1일 오후 12:0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Dependabot을 통한 안전한 의존성 관리

    ... 더 보기

    무너지고 있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직군의 경계에 대한 고찰

    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4,076


    데이터 분석가 커리어 만들기[#2 tools 편] BI

    R과 파이썬은 비교하는 이야기는 비교 관점 보다는 어떻게 공부하고 사용하면 좋을지 이야기 하고싶다. 비교는 하지 않으려고 한다. (이유는 #1 편 참고 ) 상용 BI tool은 트렌드를 반영하며 지속적으로 기능이 업그레이드 되고 있다. 프리세일즈도 했었기에 가장 근거를 많이 삼는 사이트를 소개하면 비교 해보고자 한다. BI tool를 다 나열하면 너무 많기 때문에 경험상 비교 되었던 몇 가지 툴을 비교하려고 한다. 아래 tool은 self BI tool로 국내 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비교 검토 대상이 되었다. 각 tool의 장단점이 있고 QlikView 를 제외하고는 사용해보았다. (스킬 수준은 다르지만) Spotfire VS Tableau VS Power BI 1. Tool 비교 사이트 대부분 가트너를 가장 신뢰하는 사이트인지 각 업체마다 가트너를 레퍼런스로 내세우며 비교 한다. 가트너: https://www.gartner.com/reviews/market/analytics-business-intelligence-platforms 참고 URL: https://www.finereport.com/en/bi-tools/top-5-bi-tools-of-201... 더 보기

     • 

    저장 20 • 조회 6,859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6 • 조회 3,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