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itutionalDAO에 참여해보고 > ConstitutionalDAO는 DAO의 장점을 잘 살렸을까? 비록 낙찰에는 실패하였지만 그래도 빠른 시일 내에 공적인 목적을 위해 커뮤니티가 힘을 모으는 위력을 보여줬다는 점에선 한몫한 것 같다. 반면에, DAO의 단점도 드러났다. HBS의 조교수 Rem Koning이 분석한 ConstituionalDAO의 참가자의 도네이션 비율. (링크: https://twitter.com/orgRem/status/1461550467645857795) 참가자들 중 Top 1%가 무려 66%의 돈을 내었다. 앞에서 말했듯이 ConstituinalDAO의 토큰은 ownership 토큰이 아니라 governance 토큰이다. 그러므로 이 Top1%의 의견만 모아져도 의사 결정에 대한 과반 이상을 가지게 된다는 이야기. (물론 많이 일반화된 이야기). 참고로, 미국의 Top 1% 부자는 미국 전체 부의 27%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면, 이것은 DAO의 원래 목적인 community-driven ownership and governance가 아니라 오히려 "돈"으로 "의견"과 그 커뮤니티에 대한 "접근성"을 Gate화 하고 있다고 보이기도 한다. 만약, 그 "돈"이 벌써 불공평 혹은 골고루 배분되어있지 않다면, web3의 철학인 community와 ownership도 불공평하고 불평등해질 수도. 여전히 web3의 컨셉과 방향성에 대해선 믿고, 어떤 상상을 하고 있는지는 보이지만, 아직은 아주 일러보인다는게 현재 생각. 사코니 리뷰 구독하기: https://saconyreview.glivery.co.kr/

ConstitutionalDAO에 참여해보고

Glivery

ConstitutionalDAO에 참여해보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19일 오전 6:12

조회 15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명 선수는 명 감독이 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감독이 되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생겨난 말이다. 신이라 불리던 디에고 마라도나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지만 남아공 월드컵에서 그들 기준에 한참 못 미친 8강에 그쳤다.

    ... 더 보기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조회 441


    ❶경영진이 인재관리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54%)

    ... 더 보기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일리경제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

    < 해결책 과잉 시대, 이제는 의미가 답이다 >

    1. 과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해결책의 양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더 보기

    《23분》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