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똑라의 W 6회 : ‘김영란법‘으로만 기억되긴 아쉬운 이름, 김영란> 세계 각국 멋진 여성들을 조명하는 시리즈. 6회에서는 청탁금지법, 일명 ‘김영란법’으로 친숙한 그 이름, 김영란 현 대법원 양형위원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김영란법 이전에도 그는 2004년 한국 최초의 여성 대법관으로 다양한 소수 의견을 내온 사람인데요. 대법관, 권익위원장, 양형위원장, 교수 등 다양한 이력을 거쳐온 그의 일화들과 그 사이사이에 있었던 사회 변화들도 짚어봅니다.

6회 - '김영란법'으로만 기억되긴 아쉬운 이름, 김영란

FLO MUSIC

6회 - '김영란법'으로만 기억되긴 아쉬운 이름, 김영란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16일 오전 4:50

조회 9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2025 NYU REUNION DAY! 테헤란로 소진언니

    

    ... 더 보기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12